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기업·공공기관 사칭 ‘노쇼 사기’ 기승…올해만 2892건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9.07 20:30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최근 기업이나 공공기관을 사칭해 전화·메신저로 음식점 등을 예약한 뒤, 취급하지 않는 고가 주류·음식을 선결제하게 하고 잠적하는 이른바 ‘노쇼 사기’가 전국적으로 기승을 부리고 있다. 하지만 검거율은 1%에도 못 미쳐 경찰의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PCM20250829000001990.jpg
공무원 사칭 사기 주의 [연합뉴스 자료사진]

 

더불어민주당 박정현 의원(대전 대덕구·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시도경찰청별 노쇼 사기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 1월부터 7월까지 전국에서 발생한 노쇼 사기 건수는 총 2892건, 피해액은 414억 원에 달했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 고스란히 피해를 떠안은 셈이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577건(피해액 79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검거 건수는 단 2건에 불과했다. 이어 △경북 284건(38억 원) △서울 281건(33억 원) △전북 215건(35억 원) 순으로 집계됐다.


검거율은 초라하다. 전체 2892건 가운데 검거된 건수는 22건으로, 비율은 0.7%에 그쳤다. 특히 서울, 부산, 인천, 울산, 세종, 경기북부, 충남, 경북, 제주에서는 단 한 건도 검거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검거율이 낮은 이유로 전화·메신저 기반 범행 특성, 위조 명함·신분증 사용 등 신원 확인의 어려움을 꼽는다.


박정현 의원은 “노쇼 사기는 유명 기업이나 공공기관을 사칭해 소상공인이 매출을 기대하며 속아넘어갈 수밖에 없는 구조적 약점을 노린 악질 범죄”라며 “발생 건수 대비 검거율이 0.7%에 불과한 현실은 심각하다. 경찰이 보다 실질적인 성과를 내 서민을 울리는 범죄의 뿌리를 뽑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22대 국회의원, 주식 매각·백지신탁 효과 ‘미미’
  • 현대차, IAA 모빌리티 2025서 소형 EV 콘셉트 ‘콘셉트 쓰리’ 공개
  • 압구정2구역, ‘한강 100년 랜드마크’로 재탄생
  • BYD, 유럽 공장 생산 계획과 신모델 공개…“현지 시장 강화”
  • 폴스타, 플래그십 전기 GT ‘폴스타 5’ 공개
  • 삼립 치즈케익, K-디저트 첫 美 코스트코 진출
  • 삼립 치즈케익, K-디저트 첫 美 코스트코 진출
  • 루마니아 한식당에 욱일기 인테리어…“엉터리 한식당
  • 신한카드, 사내 AI 플랫폼 활용 ‘우문현답’ 진행
  • 추천템 쏟아지는 ‘올리브영’…소비자 관심도 압도적 1위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기업·공공기관 사칭 ‘노쇼 사기’ 기승…올해만 2892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