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국제우편·특송화물 등 해외직구 통한 마약 적발, 최근 5년 새 557.2% 증가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9.11 15:36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전체 마약 밀수 적발의 73.7%가 해외직구 경로
  • 접근 용이한 20~30대 청년층 마약사범 59.7%

DSC_0196_(1).jpg
해외 직구 상품에서 검출된 마약류 제품들 사진=식약처 제공


최근 해외 온라인 쇼핑몰에서 직구로 구매한 젤리, 과자, 조미료 등 일부 식품에서 마약류 성분이 대거 검출된 가운데, 해외직구 마약 밀수 적발량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성준 국회의원(서울 강서구을)이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외직구 물품의 주요 반입경로인 국제우편과 특송화물에서 마약 밀수 적발량이 2020년(88.5kg) 대비 2024년(581.7kg) 기준 557.2%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도 7월까지만 249.4kg에 달하는 마약이 국제우편과 특송화물을 통해 적발됐다.


또, 최근 관세청이 적발한 마약은 최근 5년간(2020년~2025년 7월) 총 4,824건(6,338kg)으로, 시가 1조 9,094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해외직구 물품을 통한 반입 경로인 국제우편과 특송화물을 통해 적발된 마약 적발 건수는 총3,553건(2,423kg), 시가 3,952억 원으로 전체의 73.7%를 차지했다. 


국제우편을 통한 마약 밀수 적발량은 2020년 38.2kg에서 2025년 7월 기준 81.1kg으로 2배 이상 증가했으며, 특송화물을 통한 밀수 또한 50.2kg에서 168.4kg으로 3배 이상 급증했다. 


발견·단속이 까다로운 신종마약류의 적발 건수도 크게 증가했다. 마약 종류별 적발 현황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년~2025년 7월) 신종마약 적발 건수는 2,879건(934kg)으로 전체의 51.3%를 차지해 필로폰, 코카인, 대마를 압도하는 수치를 보였다. 이는 신종마약이 빠른 속도로 보급, 확산되면서 대중적으로 알려진 마약보다 향정신성의약품 등이 적발되는 건수가 증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20~30대 청년층의 마약사범 비중이 59.7%에 달하며 모든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2020년~2025년 7월) 연령대별 단속 현황의 세부자료에 따르면, 30대가 33.0%로 비중이 가장 높았고, 20대 26.7%, 40대 19.3%, 50대 11.3%, 60대 6.5%, 70대 2.2%, 80대 0.7%, 10대 0.3%, 90대 0.1% 순이었다. 


텔레그램 등 SNS 등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마약 유통망의 확산으로 20~30대 청년층이 마약 밀수 및 투약의 주요 타깃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진성준 의원은 “해외직구 반입 경로인 국제우편과 특송화물을 이용한 마약 밀수가 전체 적발량의 70% 이상"이라며, 특히 "디지털 플랫폼의 접근이 용이한 20~30대 청년층에서 마약사범 비중이 커지는 등 연령도 낮아지고 있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종합대책이 시급한 만큼, 관세청을 비롯한 관계부처와 기관이 마약 해외직구 단속 및 실시간 통관 검증 체계 강화 등의 체계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프랜차이즈 정보 빨리 공개해야”…가맹사업법 개정 추진
  • 킥보드 방치·무면허·사고 끝낸다…여야, PM 기본법 공동 발의
  • 15만 명 예약 일방 연기한 디즈니, 허술한 보상책 논란
  • 오세훈 시장 추진 '감사의 정원', 광화문 광장서 찬반 갈등 확산
  • 권성동 의원 구속 심사…‘K-PEACE 페스티벌’ 축사, 8천 명 동원·자금 출처 의문
  • 국내 최고 젖소 가린다…서울우유, 제11회 홀스타인 경진대회
  • 아모레퍼시픽 1위…한국콜마 하락·코스맥스 상승
  • 기후위기 속 ‘친환경 마케팅’ 급부상…기업 성장의 새 전략
  • 비브리오패혈증 급증…치명률 42%, 고위험군 ‘비상’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국제우편·특송화물 등 해외직구 통한 마약 적발, 최근 5년 새 557.2% 증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