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마약 밀수 적발의 73.7%가 해외직구 경로
- 접근 용이한 20~30대 청년층 마약사범 59.7%

최근 해외 온라인 쇼핑몰에서 직구로 구매한 젤리, 과자, 조미료 등 일부 식품에서 마약류 성분이 대거 검출된 가운데, 해외직구 마약 밀수 적발량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성준 국회의원(서울 강서구을)이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외직구 물품의 주요 반입경로인 국제우편과 특송화물에서 마약 밀수 적발량이 2020년(88.5kg) 대비 2024년(581.7kg) 기준 557.2%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도 7월까지만 249.4kg에 달하는 마약이 국제우편과 특송화물을 통해 적발됐다.
또, 최근 관세청이 적발한 마약은 최근 5년간(2020년~2025년 7월) 총 4,824건(6,338kg)으로, 시가 1조 9,094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해외직구 물품을 통한 반입 경로인 국제우편과 특송화물을 통해 적발된 마약 적발 건수는 총3,553건(2,423kg), 시가 3,952억 원으로 전체의 73.7%를 차지했다.
국제우편을 통한 마약 밀수 적발량은 2020년 38.2kg에서 2025년 7월 기준 81.1kg으로 2배 이상 증가했으며, 특송화물을 통한 밀수 또한 50.2kg에서 168.4kg으로 3배 이상 급증했다.
발견·단속이 까다로운 신종마약류의 적발 건수도 크게 증가했다. 마약 종류별 적발 현황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년~2025년 7월) 신종마약 적발 건수는 2,879건(934kg)으로 전체의 51.3%를 차지해 필로폰, 코카인, 대마를 압도하는 수치를 보였다. 이는 신종마약이 빠른 속도로 보급, 확산되면서 대중적으로 알려진 마약보다 향정신성의약품 등이 적발되는 건수가 증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20~30대 청년층의 마약사범 비중이 59.7%에 달하며 모든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2020년~2025년 7월) 연령대별 단속 현황의 세부자료에 따르면, 30대가 33.0%로 비중이 가장 높았고, 20대 26.7%, 40대 19.3%, 50대 11.3%, 60대 6.5%, 70대 2.2%, 80대 0.7%, 10대 0.3%, 90대 0.1% 순이었다.
텔레그램 등 SNS 등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마약 유통망의 확산으로 20~30대 청년층이 마약 밀수 및 투약의 주요 타깃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진성준 의원은 “해외직구 반입 경로인 국제우편과 특송화물을 이용한 마약 밀수가 전체 적발량의 70% 이상"이라며, 특히 "디지털 플랫폼의 접근이 용이한 20~30대 청년층에서 마약사범 비중이 커지는 등 연령도 낮아지고 있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종합대책이 시급한 만큼, 관세청을 비롯한 관계부처와 기관이 마약 해외직구 단속 및 실시간 통관 검증 체계 강화 등의 체계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BEST 뉴스
-
[단독] "LG전자, 직원 10명 중 4명 잘린다…초대형 희망퇴직"
LG전자가 대규모 감원에 돌입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LG전자 직원만 가입할 수 있는 폐쇄형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최근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담아 "기사화를 부탁한다"는 글이 올라왔다. 이 글의 작성자는 LG전자 소속을 인증한 LG전자 직원으로 추정된다는 점에서 신빙성 있는 자료로 분석된다. ... -
DB그룹 경영권 향방 중대 고비…김남호 명예회장, 법률 자문 검토
DB그룹 2세인 김남호 명예회장이 두 달 전 회장직에서 물러난 데 이어 내년 3월 사내이사직까지 내려놓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대응에 나설지 주목된다. 김남호 DB그룹 명예회장 사진=DB그룹 제공/연합 지난 6월 27일, DB그룹은 돌연 ... -
“출산 후 수혈 못 해 아내를 잃었다”…영주 A 병원 예고된 인재
지난 7월, 경북 영주시의 분만취약지 지원병원에서 출산 직후 산모가 과다출혈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병원은 매년 수억 원의 국비·지방비를 지원받는 지역응급의료기관이었지만, 정작 응급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혈액조차 확보하지 못해 비극을 막지 못했다. 이 사고는 한 개인의 불운이 아니라 제도적 허점...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박주민 “오세훈, 비(非)강남 버렸다”…경전철 공약 ‘빈 껍데기’ 전락
오세훈 서울시장 사진=연합뉴스 서울시가 추진해 온 강북·동북권 경전철 사업이 잇따라 좌초하면서 오세훈 시장의 균형발전 공약이 사실상 공염불에 그쳤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서울시당과 ‘새로운서울준비특별위원회’(위원장 박주민)는 21일 열린 ‘오세훈 시정 3... -
인천공항 제4활주로서 화물차 사고 사망…공항 안전관리 또 도마 위에
26일 오전 6시쯤 인천 중구 인천국제공항 제4활주로 인근에서 50대 남성 A씨가 몰던 1t 화물차가 공항 외곽 울타리를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했다. 인천국제공항 전경 [인천국제공항공사 제공. 연합뉴스] 사고 충격으로 크게 다친 A씨는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