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올해 사자성어 '과이불개(過而不改)'..."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다"는 뜻

  • 박상현 기자
  • 입력 2022.12.11 20:23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대학교수들이 '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다'라는 뜻의 '과이불개'(過而不改)를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했다. 


Screenshot 2022-12-11 at 20.18.36.JPG
대학교수들이 '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다'라는 뜻의 '과이불개'(過而不改)를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했다. 과이불개(過而不改) 휘호. 정상옥 전 동방문화대학원대 총장(문학박사)이 ‘해서(楷書)’체로 썼다. 사진=교수신문 갈무리

 

교수신문에 따르면 전국 대학교수 9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과이불개가 과반수 이상의 50.9%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고 11일 밝혔다.


과이불개는 논어의 '위령공편'에서 처음 등장한다. 공자는 '과이불개 시위과의(是謂過矣)'(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 것, 이것을 잘못이라 한다)라고 했다.


과이불개는 조선왕조실록에도 여러차례 나온다. 특히 '연산군 일기'에는 연산군이 소인을 쓰는 것에 대해 신료들이 반대했지만 고치지 않고 있음을 비판하는 내용이 실려있다.


과이불개를 추천한 박현모 여주대 교수(세종리더십연구소장)는 "우리나라 지도층 인사들의 정형화된 언행을 이 말이 잘 보여주기 때문"이라며 "여당이나 야당 할 것 없이 잘못이 드러나면 '이전 정부는 더 잘못했다' 혹은 '야당 탄압'이라고 말하고 도무지 고칠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과이불개를 추천한 더 큰 이유는 잘못을 고친 사례가 우리 역사 속에 있었는지 궁금했기 때문"이라면서 "특히 성군으로 불린 세종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후회하며 이를 고치는 장면이 많이 등장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세종 재위 기간 안전사고에 의한 대규모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며 "잘못을 고치거나 처벌받기는커녕 인정하지도 않는 지금 우리는 어떻게 진노해야 하나"고 말했다.


과이불개를 선택한 한 교수는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잘못”을 선정 이유로 들었다. 한국정치의 후진성과 소인배의 정치를 비판한 50대 인문학 교수는 “현재 여야 정치권의 행태는 민생은 없고, 당리당략에 빠져서 나라의 미래 발전보다 정쟁만 앞세운다"고 지적했다. 여당이 야당되었을 때 야당이 여당 되었을 때 똑같다는 의견도 많았다.


97960_88513_2344.jpg
자료=교수신문 갈무리

 

한편 '덮으려고 하면 더욱 드러난다'는 뜻의 '욕개미창'(慾蓋彌彰)이 14.7%로 2위를 차지했고 '여러 알을 쌓아놓은 듯한 위태로움'이라는 뜻의 '누란지위'(累卵之危)(3위·13.8%), '과오를 그럴듯하게 꾸며내고 잘못된 행위에 순응한다'는 '문과수비'(文過遂非)(4위·13.3%), '좁은 소견과 주관으로 사물을 그릇되게 판단하다'는 '군맹무상'(群盲撫象)(5위·7.4%)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교수들이 추천한 사자성어는 '고양이와 쥐가 한패가 됐다'라는 뜻의 '묘서동처'(猫鼠同處)였다.


97967_88534_2352.jpg
자료=교수신문 갈무리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농수산식품유통공사, ‘금배추’ 대란 자초
  • 의사소통 장애인 도우미 교육 올해도 개시
  • K-푸드 인기 속 ‘즉석밥 대박’… 그러나 속을 들여다보면 미국산 쌀
  • ‘해 짧아지니 카페인도 줄인다’…가을 저녁, 디카페인 커피 뜬다
  • 뇌사 장기기증, 5년 만에 최저… 이식 기다림은 길어졌다
  • 휴게소 음식 22건 위반… 도로공사 ‘위생관리 구멍’
  • AI, 석굴암·첨성대 왜곡… “국가 차원 바로잡아야”
  • 깜깜이 ESS 웃돈, 200조 빚더미 한전에 폭탄 추가되는 꼴
  • 해외직구 물품서 방사성 물질 검출… “생활 속 노출 우려”
  • 제주산 말차와 '잠바'의 만남… 시즌 한정 음료 4종 출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올해 사자성어 '과이불개(過而不改)'..."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다"는 뜻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