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 시장, 수출 '프로바이오틱스' 수입 '복합영양소' 많아...

  • 기자
  • 입력 2024.04.22 16:09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전세계 2022년도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는 약 1252억 6540만 달러에 달했다. 2018년 약 1014억 5000만 달러보다 20% 이상 늘었다. 

 

 

글로벌 건강기능 식품시장 규모640.jpg
자료=식품산업통계시스템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도 같은 기간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식품산업통계정보시스템(식품의약품안전처 자료 인용)에 따르면 국내 건강식품시장 규모는 2022년 약 5조3000억원에 달했다. 2018년 3조원 비해 약 2배 가까이 늘어난 규모다. 2018년 이후 연평균 약 15% 증가한 것이다.

 

'22년 기준 건강기능식품 업체 수는 총 566개로 18년 이후 연평균 3.1% 증가했다. 주요 업체는 (주)한국인삼공사, (주)에치와이, 콜마비엔에이치(주),(주)노바렉스, 종근당건강(주) 등 5개 기업이며 이들이 전체 시장의 52.7%를 차지했다. 


'22년 기준 건강식품의 유형별 구성비는 혈행개선(13.1%), 기억력개선(12.9%), 면역기능개선(11.7%), 항산화(11.1%), 피로개선 (10.8%), 여성건강(10.2%), 장건강(10.0%), 눈건강(4.1%) 등이었다.

 

건강기능식품 5개 기업 제품 640.jpg
자료=식품산업통계시스템

 

수출실적도 이기간 크게 늘었다. 22년 2800억원에 육박해 18년 1259억원에 비해 20% 이상 증가했다. 주요 수출 품목은 고시형의 경우 프로바이오틱스(27.7%), 홍삼(23.9%), 비타민 및 무기질(15.9%)로 나타났다. 


한편 수입규모도 증가했다. 22년 수입액은 11억 6200억 달러(약 1조 5000억원)에 육박해 18년 6억 1100억 달러에 비해 연평균 17.4% 늘었다. 수입건수도 22년 1만 4000건에 육박했는데, 이는 연평균 3.7% 증가한 것이다. 


수입액을 기준으로 품목을 살펴보면 복합영양소 제품(29.0%), 영양소 및 기능성 복합제품(17.4%), 프로바이오틱스(8.3%), EPA 및 DHA 함유유지(8.2%), 단백질 비타민C 각 2.3% 등이다. 


또 22년 수입액 기준으로 주요 수입국은 미국(43.0%), 독일(18.2%), 캐나다(7.7%) 순이었다. 주요 수입업체는 피엠인터내셔널코리아유한회사(13.1%), 한국암웨이㈜(12.9%), 유이시티코리아(유)(3.8%), 주영엔에스㈜(3.3%), 유사나헬스사이언스코리아(유)(2.9%) 등이다.


안성근 기자 sobiza1@naver.com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보험사 권유 믿고 갈아탔다 ‘낭패’
  • 알테오젠, K-브랜드지수 제약·바이오 상장사 부문 1위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ISMS 인증 취득 한 달 만에 화재 복구 허점 드러나
  •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나이트 에디션’ 출시 기념 팝업 운영
  • 현대차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美 타임지 ‘2025 최고의 발명품’ 선정
  • 강남 산후조리원 2주 4,020만 원…전국 최고가, 최저가 33.5배 차
  • EPL 맨시티, 추석 기념 영상 공개…中 누리꾼 “한국이 중국 문화 훔쳤다” 반발
  • BYD, 브라질 공장에서 1,400만 번째 친환경차 출고
  • KOTRA 해외무역관 73%, 투자유치 실적 ‘0’
  • 정보보호 인력 이탈 경험 기업 57%… 4년 미만 경력자 절반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건강기능식품 시장, 수출 '프로바이오틱스' 수입 '복합영양소' 많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