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정위 2023년 가맹사업 현황…실버‧디지털 업종 증가세
 
지난해 국내 프랜차이즈 가맹사업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외식업 가맹점이 타 업종 대비 2배 이상 성장, 회복세를 이끌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최근 정보공개서를 토대로 2023년도 가맹사업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가맹본부는 8759개, 브랜드 수는 1만2429개로 나타났다. 2022년 8183개, 1만1844개보다 각각 7.0%, 4.9% 증가했다.
   
업종별 브랜드 수는 외식이 5.2%, 서비스가 5.7%, 도소매가 4.8% 증가하며 모두 고르게 성장했다. 가맹점 수는 외식업에서 가장 많이 늘었다. 외식업 가맹점은 전년 대비 7.4% 증가한 17만9923개로 전체의 51%를 차지했다. 서비스업은 3.0% 증가한 10만4134개로 전체의 29.5%를, 도소매업은 3.1% 증가한 6만8809개로 전체의 19.5%의 비중을 보였다.
   
외식업종에서는 한식이 두각을 나타냈다. 외식업종 전체 브랜드 수 9934개 중 한식업종이 3556개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증가율도 8.8%로 2위를 기록했다. 한식업종 중 성장세가 두드러진 부문은 반찬가게전문점이다. 1인가구 증가와 식재료 가격 상승으로 저렴한 반찬가게를 찾는 이들이 증가했다. 이 중 진이찬방은 채소 등 식재료 가격 인상에도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메뉴를 제공중이다. 지난 3월에는 카카오톡 선물하기에 입점하면서 디지털 마케팅도 강화했다.
   
진이찬방은 반찬 경력 23년의 프랜차이즈 브랜드다. 신선한 식재료와 70여 가지의 완제품 및 소스를 직접 공급한다. 재료는 국내 농가와의 직거래 계약을 론칭 초기부터 유지하고 있다. 진이찬방이 제공하는 음식의 종류는 200여 가지가 넘는다.
   
외식업종 가맹점 평균매출액은 12.7% 늘어난 3.14억원을 기록했다. 증가율로는 한식 2.25억원(17.2%), 피자 2.84억원(11.6%), 제과제빵 4.9억원(8.1%), 커피 2.25억원(7.4%), 치킨 2.97억원(6.5%) 순이었다.
   
피자 프랜차이즈 중 자가제빵 선명희피자는 국내산 진도 흑미가 들어간 웰빙 도우를 사용한다. 도우제조 관련 특허도 갖추고 있는데 푸짐한 토핑과 치즈로 빵끝까지 맛있다는 평을 듣고 있다. 이로 인해 선명희피자는 단체 주문이 많은 브랜드로도 알려졌다. 지난해에는 제주 모부대에서 단건 주문으로 160판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올해에도 전주송천점이 바싹불고기피자 15판 단체주문을 받는 등 피자 단체주문하기 좋은 브랜드로도 입소문을 타고 있다.
   
서비스업종도 브랜드 수는 1900개, 가맹점 수는 10만4134개로 전년 대비 각각 5.7%, 3.0% 증가했다. 특히 고령 인구가 많아지면서 실버산업과 디지털 관련 산업이 성장했다.
   
주간보호센터 ‘아들과딸’은 실버산업 성장에 발맞춘 서비스를 선보이며 사업 확대에 나서고 있다. 아들과딸은 최신의 메타버스 VR 기술을 도입해 어르신들의 인지 능력 향상과 기억력 유지를 도모하는 치매 예방 프로그램을 도입해 시니어 데이케어 분야의 전문성을 강화했다. 아울러 높은 수익성과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한 사업 아이템임에도 복잡한 인허가 등으로 쉽게 도전하지 못하는 예비 창업자들을 위해 운영 관련 90% 이상의 업무를 IT화한 오토 운영 시스템도 구축했다.
   
최근에는 높은 창업 비용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본사와 가맹센터의 상생을 도모하고자 20호점까지 창업비용 5000만원 지원이라는 파격적인 창업 프로모션도 시행중이다.
   
프랜차이즈 전용 프로그램으로 고안된 ERP를 활용해 부진매장을 관리하는 가맹본부가 증가하면서 ERP서비스도 확대됐다. 프랜차이즈 ERP의 핵심 리드플래닛 관계자는 “가맹점별 매출 데이터 분석은 물론 어떤 지점이 부진매장인지, 본사의 해결책이 어떻게 필요한지 등을 간편하게 파악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리드플래닛 프로그램 내 가맹점 관리 메뉴의 가맹점 손익 분석 기능을 활용하면 손익분석표 기입만으로 현재 해당 가맹점의 부진점 징후 판별이 위험‧경계‧양호 중 어떤 결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아울러 매출현황표를 통해 가맹점의 3년 치 매출 데이터를 상세히 조회해 부진 징후가 판별된 해당 매장의 사유 역시 파악해 볼 수 있다.
   
리드플래닛 관계자는 “가맹점의 성공은 곧 본사의 성공과 매출 증진으로도 이어질 수 있기에 매출이 저조하고 부진한 매장 관리는 반드시 필요하다”며 “쉽고 빠르게 가맹점별 부진 징후를 알아볼 수 있고 이에 대한 상세한 솔루션을 파악할 수 있는 프랜차이즈 ERP 활용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BEST 뉴스
- 
									
										
										[단독] 환율 미쳤다…미국 공항서 달러당 2100원에 거래 중
미국에서 1달러를 매입하려면 한화를 2000원 이상 지불해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만큼 원화 가치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일러스트=픽사베이 13일 미국 캘리포니아 현지 관계자에 따르면, 12일(현지시간) LA LAX공항 내부 환전소에서 교민들이 달러를 구입할 ... - 
									
										
										올림픽대로 끝자락 ‘스테이지28’ 민간 표지판이 9개나?
서울 강동구 고덕동, 올림픽대로의 끝자락을 달리다 보면 눈에 띄는 표지판이 있다. KB뉴스영상 화면 갈무리 출처=KBS ‘3차로로 진입하세요’라는 안내 바로 옆에 ‘스테이지28 방향’이라는 글씨가 붙어 있다. 분기점에도, 진입로에도, 측도에도 같은 표지판이 반복된다. 세어보니 ... - 
									
										
										가평 크리스탈밸리CC서 카트 추락…70대 근로자 사망
18일 오후 1시경 경기도 가평군 상면 대보리 소재 크리스탈밸리 컨트리클럽(CC) 내 도로에서 작업용 카트가 5미터 아래로 추락해 70대 근로자 2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즉시 구조에 나섰으나, 두 사람 모두 심정지 상태로 발견돼 병원으로 이송된 뒤 사망 판정을 받았다. 사... - 
									
										
										[단독] FDA에 이름 오른 '에이피알'… 'K-뷰티 신화'에 드리운 먹구름
에이피알(APR) 김병훈 대표 사진=연합뉴스 ‘메디큐브(Medicube)’로 대표되는 에이피알(APR)은 국내를 넘어 세계 시장에서 K-뷰티의 새로운 신화를 써 내려가고 있다. 에이피알을 이끄는 김병훈 대표는 ‘디지털 감각’과 ‘공격적 마케팅’으로 SNS 중심의 브랜드 확산 전략을 ... - 
									
										
										매크로 예매는 불법인데… 티켓베이는 왜 처벌받지 않나
티켓구매 (CG) [연합뉴스TV 제공] 프로야구와 인기 가수 공연 티켓을 자동 프로그램(매크로)으로 대량 예매해 되판 업자들이 잇따라 적발되고 있다. 경찰은 최근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프로야구 입장권을 무더기로 예매한 일당을 검거했다. 이들은 초당 수백 회 클릭... - 
									
										
										호반그룹, 성장인가 무리수인가
김상열 호반그룹 회장과 장남 김대헌 사장 사진출처=연합뉴스 인천 송도의 호반써밋송도오피스텔에서 시작된 전기료 소송이 호반그룹의 책임 구조를 둘러싼 근본적 질문으로 번지고 있다. 입주민들은 “인근 단지보다 두 배 이상 전기료를 내고 있다”며 시공사인 호반건설을 상대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