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유자 ‘찬성’ 60% 내외인데, 비보유자는 ‘반대’ 70% 내외
비보유자는 지하 주차보다 충전에 대한 거부감 더 커

전기차 보유자와 비보유자 사이의 갈등이 커질 조짐이 있고, 그 중심은 지하 주차장에서의 주차와 충전이다. 이들의 태도는 정반대에 가까워 좁히기 어려워 보인다.
컨슈머인사이트의 ‘전기차 화재 소비자반응 추적 조사’ 1차와 2차는 추적조사 패널을 구축하기 위한 시도의 일부로 동일한 질문을 사용해 진행됐다. 기간은 1차 ‘8월7일~11일’과 2차 ‘8월12일~14일’이며 편의상 이를 1주차, 2주차 조사라 한다. 응답한 표본수는 총 4만5628명(1차 3만4685명, 2차 1만943명)이다.
이들 중 전기차 보유자는 2544명(전체의 5.6%)이며, 이 조사가 전기차 화재 사건 직후에 시작됐기 때문에 전기차보유자가 더 많이 참여했을 가능성이 있다. 3차 조사부터는 표본틀에서 목표 표본수 만큼 독립표집할 예정이다.
■ 예상되는 사회갈등의 핵심 주제는 ‘주차와 충전’
전기차 보유자와 비보유자 간의 갈등을 유발할 핵심 주제는 전기차의 ‘지하 주차장 주차와 충전’이다. 보유자는 주차와 충전에 대해 찬성이 각각 66%, 59%인 반면, 비보유자는 반대가 67%, 75%였다[그림1]. 반면 보유자의 ‘반대’, 비보유자의 ‘찬성’은 모두 10%대에 그쳤다. 이 문제에 대한 양자의 태도는 찬성과 반대로 극명하게 갈려 합의점을 찾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1~2차 조사의 차이를 보면 보유자는 주차와 충전에 찬성하는 비율이 각각 5%p, 7%p 상승했다. 초기 충격에서 다소 벗어나 현실적인 입장으로 되돌아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비보유자도 찬성이 각각 2%p 늘었으나 그 비율이 10% 내외에 그쳐 경계심을 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비보유자는 지하 ‘주차와 충전’ 중 ‘충전’에 대해 더 거부감이 컸다(+8%P). 충전 자체가 위험하다고 느낄 뿐 아니라, 이 시설이 차지하는 공간이 유용한 주차 공간을 더 줄어들게 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 보유자의 걱정은 ‘차’ 문제에서 ‘이웃’ 문제로 옮겨 가
전기차 보유자의 걱정거리에 대한 1차-2차 조사 결과를 비교하면 주목할 만한 변화가 있었다. 걱정의 순위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1위 ‘화재 사고에 대한 배상 책임 소재’는 7%p(60%→53%) 줄었고, 2위 ‘화재 발생 불안감’은 6%p(51%→45%) 감소했다[그림2]. 가장 큰 걱정거리 2개 요소만 비율이 감소했고 그 폭도 매우 컸다(참고. 전기차 화재 이후…보유자의 가장 큰 걱정은 ‘배상 책임 소재’).
반면 ‘내연기관차 보유자와의 사회적 갈등’(29%)과 ‘주변 사람들의 불편한 시선’(33%)에 대한 우려는 각각 6%p, 4%p 증가했다. 또한 주차 관련된 ‘주거·일터의 주차문제’(24%)와 ‘다른 공공장소의 주차 문제’(18%)도 모두 1차에 비해 2%p 증가했다.
이는 전기차 보유자의 우려가 ‘차’ 관련 문제에서 ‘사람’ 관련 문제로 옮겨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기차 보유자가 차로 인해 다른 사람과의 관계가 이전보다 불편해지고, 더 갈등적 관계로 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시의성 있는 현실 파악이 문제 해결의 기초
전기차 화재 사고는 이제 전국민적인 관심사가 됐고, 대다수가 이해당사자의 입장에서 바라보고 있다. 관심의 핵심은 지하 ‘주차와 충전’이다. 이에 대한 보유자와 비보유자의 의견은 극과 극을 달리는 상황이다. 전기차 보유자는 여러모로 힘들고 억울하고, 비보유자는 불안하다. 사회적 갈등의 최소화,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의 최소화를 위해 조속하고 슬기로운 해결이 필요하다.
BEST 뉴스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단독] 삼성 갤럭시폰, 이미지 파일로 원격 해킹 가능?
반고흐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 기기로 사용되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CVE-2025-21043)이 확인됐다. 제로데이 공격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 -
신원근 진학사 대표, 국감 증인 출석… ‘스타트업 기술탈취’ 의혹 도마에
신원근 진학사 대표가 22대 국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중소기업 기술탈취 관련 질의를 받게 됐다. 29일 국회에 따르면 신 대표는 오는 10월 14일에 열리는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의 국정감사에 출석요구될 증인 명단에 포함됐다. 신원근 진학사 대표 사진출차=SNS ... -
[단독] 간염 유발 대웅제약 ‘가르시니아’…다이소 외 더 있다
대웅제약이 유통하고 네추럴웨이가 제조한 건강기능식품 ‘가르시니아(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에서 최근 간 기능 이상사례 2건이 보고됐다. 사진=식약처 제공 두 명의 소비자는 각각 급성 간염 증상으로 입원 치료를 받았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는... -
국가AI전략위, ‘AI정부’ 전환 TF 출범…아토리서치 정재웅 대표 주목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 시스템이 마비된 사태 이후, 정부가 근본적 해결책 마련에 나섰다.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위원장 이재명 대통령, 이하 위원회)는 29일 ‘AI 인프라 거버넌스·혁신 TF’ 구성을 공식화했다. 이 TF의 공동 리더로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 겸 CA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