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관세협상 ‘난맥상’… 국민 절반 “트럼프 정부에 책임 더 커”

  • 박상현 기자
  • 입력 2025.07.30 16:08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이재명 국정운영 ‘긍정’ 58.8%… 경제 회복 기대는 감소세
  • 노란봉투법 찬반 팽팽… 지지정당 ‘無’ 중도·보수서 급증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장기 교착 상태에 빠진 가운데, 국민 절반 이상은 그 책임이 트럼프 행정부의 일방적 협상 태도에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재명 정부의 외교 전략에 대한 불만도 일부 존재하지만, 국정운영 전반에 대한 긍정 평가는 60%에 육박했다.


 

PUP20250730008601009.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간) 스코틀랜드 방문을 마치고 워싱턴DC의 백악관으로 복귀하는 길에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워싱턴 UPI=연합뉴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지난 28~29일 무선ARS조사를 실시해 30일 발표한 제3차 정기 여론조사에 따르면, 최근 한미 간 관세 협상 난항의 원인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무리한 요구’를 지목한 응답은 55.6%, ‘이재명 정부의 대응 부족’이라는 응답은 37.5%로 집계됐다. 진보층에서는 86%가 트럼프 행정부에 책임을 돌렸고, 중도층에서도 절반 이상인 57.4%가 같은 견해를 보였다.


 

5454.jpg
인포그래픽=KSOI 제공


트럼프 전 대통령의 협상 방식에 대해 “일방적이며 외교 결례 수준”이라는 비판에 ‘공감한다’는 의견은 53.7%,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27.7%에 그쳤다. 보수층에서도 ‘공감’이 45.2%로, ‘공감하지 않는다’(41.5%)보다 많았다.


향후 협상 전략에 대해서는 ‘유연한 접근 필요’(49.6%)가 ‘당당한 대응’(39.3%)보다 우세했다. 특히 20대(61.6%)와 30대(54.7%)에서 유연론이 강하게 나타났다. 오는 8월 1일 관세부과 시한을 앞두고 이재명 정부가 총력 외교전에 나선 가운데, 조속한 협상 타결을 통한 불확실성 해소를 바라는 여론이 다수임을 시사한다.


국정운영 ‘긍정’ 58.8%… 경제회복은 ‘가장 잘한 분야’


 

53.jpg
인포그래픽=KSOI 제공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잘하고 있다’는 응답이 58.8%, ‘잘 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35.5%였다. 직전 조사보다 긍정은 2.8%p 하락, 부정은 2.6%p 상승하며 격차는 소폭 줄었으나 여전히 20%p 이상의 우위를 보였다.


긍정평가는 40대(70.2%)와 50대(63.6%)에서 특히 높았으며, 지역별로는 대구·경북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긍정 응답이 우세했다.


가장 잘하고 있는 분야로는 ‘경제 회복’(29.1%)이 1위, ‘복지노동’(13.0%)이 뒤를 이었다. 반면 ‘외교안보’는 21.4%가 가장 못하고 있는 분야로 꼽아 협상 지연 등 대외 불안정성이 여론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정당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47.8%, 국민의힘 24.8%로 격차는 23%p에 달했다. 개혁신당(4.1%), 조국혁신당(2.9%), 진보당(1.1%)이 뒤를 이었다. 대구·경북을 제외한 전 지역, 전 연령대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우세했다.


눈에 띄는 점은 ‘지지 정당 없음’ 응답이 15.0%로, 정기조사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중도층(18.6%)과 보수층(11.7%)에서 비율이 높았다. 이는 제1야당의 내홍과 특검 소환 등 악재가 겹친 상황에서 반등 기회를 찾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노란봉투법에 대한 국민 여론은 ‘찬성’ 36.7%, ‘반대’ 36.2%로 팽팽하게 갈렸으며, ‘잘 모르겠다’는 응답도 27.1%에 달했다. 특히 20~30대에서는 반대가, 40대 이상에서는 찬성이 우세했고, 20대와 70세 이상에서는 법안에 대한 인지 부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향후 경제 전망에 대해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50.2%, ‘나빠질 것’은 44.6%였다. 그러나 직전 조사 대비 긍정 전망은 4.9%p 감소, 부정 전망은 4.8%p 증가해 격차가 줄었다.


‘한반도 평화’ 전망도 긍정 51.1%, 부정 40.1%로 낙관이 우세했으나, 이 역시 지난 조사보다 긍정 응답이 5.0%p 감소했다. 특히 20대와 30대에서는 부정 전망이 더 높아 미래 세대의 외교안보 불안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그밖의 자세한 사항은 중앙여심위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탄소중립포인트 17년째… 에너지 분야 참여율 9% 그쳐
  • 징계자에게도 성과급…음주·성비위도 포함
  • ‘1,220억짜리 헬기’ 7년째 야간 산불 못 껐다
  • 태양광 정기검사 이행률 3년 새 하락… 전기화재 비율 87%로 급증
  • AI 음성·가짜 계정 동원한 ‘좀비채널’, 허위조작정보 조직적 유포
  • 한국관광공사, 허위 현장실사 보고서로 933억 수의계약
  • 제때 치우지 않은 ‘훈증더미’, 대형 산불 불쏘시개 됐다
  • ‘헬로~ 한글’
  • 거북섬 아파트 공사장 사망… 하청 현장소장 입건, 원청 대우건설로 수사 확대?
  • 농수산식품유통공사, ‘금배추’ 대란 자초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관세협상 ‘난맥상’… 국민 절반 “트럼프 정부에 책임 더 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