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1,220억짜리 헬기’ 7년째 야간 산불 못 껐다

  • 박상현 기자
  • 입력 2025.10.20 17:15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산림청이 1,220억 원을 들여 도입한 대형 산불진화헬기 S-64가 조종사 부족으로 7년째 야간 비행에 단 한 차례도 투입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고가 장비를 확보하고도 인력 운용 부실로 인해 ‘전시행정’에 그쳤다는 지적이 나온다.

 

PYH2025032305320005300.jpg
산불 진화 헬기 사진=연합뉴스

 

20일 국민의힘 정희용 의원(경북 고령·성주·칠곡,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산림청 산불진화헬기 50대 중 야간 운용이 가능한 헬기는 수리온 3대와 S-64 4대 등 총 7대다.

 

S-64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4년간 미국 에릭슨사에서 연간 1대씩 총 4대를 순차 도입했으며, 총 도입비는 8,563만 달러(약 1,220억 원)에 달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S-64를 야간에 운용할 수 있는 조종사는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S-64는 야간 비행을 위해 별도의 자격이 필요하지만, 산림청은 해당 자격을 취득한 인력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이로 인해 올해 4월 대구 북구 함지산 산불 당시에도 야간 진화에는 수리온 2대만 투입됐다. 수리온의 담수량은 2,000리터로, S-64(8,000리터)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산림청은 “올해 7월부터 11월까지 야간산불진화 조종사를 양성 중이며, 내년 2월부터 S-64를 야간 진화에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S-64가 2018년 첫 도입된 점을 고려하면, 조종사 양성이 6년 이상 지체됐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정희용 의원은 “대형 산불은 주야를 가리지 않고 24시간 진화해야 하는데, 핵심 장비가 제 기능을 못 하고 있다”며 “내년 봄철 산불철 전까지 S-64 야간 기동체계를 완비해 대응 공백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경주서 ‘APEC 정상회의’ 맞이 특별전… 한국 미술의 전통과 현대 한자리에
  • 국립박물관 13곳 중 장애인 관람 전면 지원은 단 3곳
  • 정신질병 산재 사망 승인률 5년 새 절반으로 감소
  • 경기도 119구급대, 예산 부족에 일회용 의료기기 재사용
  • 이인선 의원, 교제폭력 피해자 보호 위한 ‘교제폭력 특례법’ 대표발의
  • 의약품 중독 환자 8만명 돌파…10대 청소년 40% 급증 ‘심각’
  • 청년몰, 전국 평균 공실률 38%…“사업 설계 자체가 문제”
  • 탄소중립포인트 17년째… 에너지 분야 참여율 9% 그쳐
  • 징계자에게도 성과급…음주·성비위도 포함
  • ‘1,220억짜리 헬기’ 7년째 야간 산불 못 껐다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1,220억짜리 헬기’ 7년째 야간 산불 못 껐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