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최수진 “북한 방사선 폐수… 원안위에 조사 권한 줘야”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9.01 12:56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북한 평산 우라늄 정련시설에서 발생한 방사선 폐수 논란이 확산되는 가운데,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에 국외 원자력시설 방사성물질 유출에 따른 국내 환경 조사 권한을 부여하는 법 개정안이 발의됐다.


PYH2025070410520001300.jpg
강화도에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전문가가 시료 채취하고 있는 모습. 2025.7.4 [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연합뉴스]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은 1일 국회에 『원자력안전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제출했다. 개정안은 원안위가 국내는 물론 국외 원자력시설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사성물질 유출로 국내 환경에 오염 가능성이 발생할 경우 직접 조사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산하 중앙방사능측정소의 위상을 강화해 실질적 모니터링 조직으로 확대하는 내용도 담았다.


◇ “강화도 방사능 오염 의혹, 제도 미비 드러내”


지난 6월, 북한 평산 우라늄공장에서 나온 폐수가 강화도 인근 해역을 오염시켰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국민적 불안이 확산됐다. 강화도의 관광업·수산업은 큰 타격을 입었지만, 원안위는 현행법상 국외 원자력시설의 운영 과정에서 나온 방사성물질에 대해 국내 환경 오염 여부를 직접 조사할 권한이 없어 대응에 한계를 드러냈다.


현재 국내 제도는 원안위가 원자력시설 사고로 인한 방사능 비상사태를 조기 탐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우라늄공장과 같은 국외 원자력시설에서 방사성물질이 유출된 경우, 하천과 호소는 환경부가, 해양 방사성물질 측정은 해양수산부가 담당하는 등 부처별로 권한이 나뉘어 있어 혼선이 발생해 왔다.


◇ “라듐·폴로늄 조사 항목도 보완해야”


PCM20241004000143001.jpg
국민의힘 최수진 의원 사진=최수진 의원실 제공

 

최 의원은 “원자력·방사능 전문성을 고려하면 국내 원자력 안전을 총괄하는 원안위가 책임 있게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부처별 권한 분산으로 발생한 감시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법적 보완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현재 원안위의 조사항목에는 라듐과 폴로늄이 빠져 있어 국민적 불신을 키우고 있다”며 “조사항목 강화와 함께 관련 인력·예산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 동서식품 ‘맥심골목’, ‘광고주가 뽑은 올해의 마케터상’ 수상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 한국전력기술, 협력사와 함께하는 ‘2025 품질의 날’ 개최
  • 거리에서 무대로… ‘청춘마이크’ 10년 여정 기록
  • 영국과 미국 헤리티지의 만남… 바버, 리바이스와 협업 컬렉션 출시
  • 국민연금 책임투자 자산 중 97% ‘ESG 워싱’ 논란
  • 웅진식품, ‘2025 JTBC 서울마라톤’ 공식 음료로 참여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최수진 “북한 방사선 폐수… 원안위에 조사 권한 줘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