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광명서 시민 26명 휴대전화서 소액결제 피해…KT는 묵묵부답

  • 김세민 기자
  • 입력 2025.09.04 19:31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경기 광명시에서 시민 다수의 휴대전화에서 수십만 원씩 빠져나가는 소액결제 피해 사건이 발생해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PCM20220402000060004.jpg
사진=게티이미지뱅크/연합뉴스

 

최근 SK통신사 해킹 의혹 사태에 이어 이번 사건까지 불거지면서, 통신사 전반의 보안 허점 문제가 다시 도마에 올랐다.


4일 광명경찰서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31일 새벽 사이, 광명시 소하동에 거주하는 시민 26명의 휴대전화에서 모바일 상품권 구매 등 수십만 원씩 무단 결제가 이뤄졌다. 


피해액은 총 1,769만 원으로 집계됐다. 피해자들은 모두 KT 통신사 이용 고객인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피해자들이 “늦은 밤 갑자기 ‘휴대전화 소액결제가 완료됐다’는 문자를 받았다”고 신고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사건은 현재 경기남부경찰청으로 이첩돼, 해킹 범죄 가능성을 중심으로 구체적 경위가 수사 중이다. 앞서 지난달 미국 보안 전문지 프랙(Phrack)은 북한 또는 중국이 배후로 추정되는 해킹 조직이 국내 정부 기관과 통신사를 대상으로 침투 활동을 벌였다는 보고서를 공개한 바 있다. 


이번 사건 역시 이러한 국제적 해킹 시도와 맞물려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특히 SK그룹의 통신사 보안 문제처럼 사태가 확대될 가능성이 거론되는 가운데, 본지는 KT 측에 사실관계 및 대응 계획을 문의했다. 


그러나 KT로부터는 명확한 답변을 받지 못한 상태다. 이용자들은 “보안이 가장 기본적인 서비스인데, 통신사가 사건 발생 직후에도 구체적 설명을 내놓지 못하는 것은 무책임하다”며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경찰 수사 결과와 함께 KT의 공식 입장이 주목된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발달장애 청년 돕는 착한 팝업 성수에 열린다
  • 경주서 ‘APEC 정상회의’ 맞이 특별전… 한국 미술의 전통과 현대 한자리에
  • 국립박물관 13곳 중 장애인 관람 전면 지원은 단 3곳
  • 정신질병 산재 사망 승인률 5년 새 절반으로 감소
  • 경기도 119구급대, 예산 부족에 일회용 의료기기 재사용
  • 이인선 의원, 교제폭력 피해자 보호 위한 ‘교제폭력 특례법’ 대표발의
  • 의약품 중독 환자 8만명 돌파…10대 청소년 40% 급증 ‘심각’
  • 청년몰, 전국 평균 공실률 38%…“사업 설계 자체가 문제”
  • 탄소중립포인트 17년째… 에너지 분야 참여율 9% 그쳐
  • 징계자에게도 성과급…음주·성비위도 포함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광명서 시민 26명 휴대전화서 소액결제 피해…KT는 묵묵부답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