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의 ‘자이’가 올 한해 상반기 동안 소비자들에게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뒤를 이어, 현대건설의 ‘힐스테이트’와 대우건설 ‘푸르지오’, HDC현대산업개발 ‘아이파크’, 포스코건설 ‘더샵’ 순으로 나타났다.

브랜드빅데이터연구소(BBDR)는 래미안, 아이파크, 힐스테이트, e편한세상, 자이 등 국토교통부 시공능력평가액 3개년 합산 기준 상위 20개 아파트 브랜드에 대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했다고 9일 밝혔다.
뉴스·카페·블로그·커뮤니티·페이스북·유튜브 등 70개 채널 32만2899건의 언급된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소비자가 가장 선호하는 아파트는 ‘자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용자들의 관심도 및 정량적·정성적 특성 등의 수치를 산출해 그 통계 지수를 토대로 예상 가치인 B-BPI (Brand-Bigdata Power Index)를 산정한 결과다. 해당 지수는 속성 지수, 언급량, 감정분석, PR 지수 통계를 가중치에 따라 더한 값이다.
2021년 상반기 아파트 브랜드 호감도 순위는 자이, 힐스테이트, 푸르지오, 아이파크, 더샵, 롯데캐슬, 레미안, e편한세상, 포레나, sk뷰, 호반써밋, 금호어울림, 반도유보라, 두산위브, 센트레빌, 해링턴플레이스, 데시앙, 중흥S클래스, 리슈빌, 코오롱하늘채 순으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위를 기록한 자이는 속성 지수 161.38, 언급량 지수 147.98, 감정분석 지수 148.23, PR 지수 51.29를 기록하며, 최종 B-BPI 14333.4로 분석됐다.
2위는 B-BPI 12662.1로 조사된 힐스테이트다. 속성 지수 133.41, 언급량 지수 79.87, 감정분석 지수 139.61, PR 지수 155.59로 분석됐다.
3위는 푸르지오로 속성 지수 128.33, 언급량 지수 110.94, 감정분석 지수 130.59, PR 지수 87.37이 되면서 최종 B-BPI 12053.4로 나타났다.
4위 아이파크는 속성 지수 93.43, 언급량 지수 56.51, 감정분석 지수 87.99, PR 지수 91.49가 되면서 최종 8419.1을 기록했다.
5위는 B-BPI 8382.9를 받은 더샵이다. 속성 지수 84.88, 언급량 지수 66.54, 감정분석 지수 92.14, PR 지수 89.95로 분석됐다.
6위는 롯데캐슬이다. 속성 지수 78.79, 언급량 지수 86.31, 감정분석 지수 79.76, PR 지수 45.34로 최종 B-BPI 7702.1로 조사됐다.
7위는 래미안으로, 속성 지수 76.6, 언급량 지수 56.77, 감정분석 지수 63.78, PR 지수 45.48을 기록하며 최종 6563.8로 산출됐다.
8위는 e편한세상으로 분석됐다. 속성 지수 66.2, 언급량 지수 44.85, 감정분석 지수 69.42, PR 지수 12.88을 기록하며 최종 B-BPI 5735.3으로 나타났다.
9위는 포레나다. 속성 지수 37.1, 언급량 지수 53.71, 감정분석 지수 36.96, PR 지수 47.94가 되면서 최종 B-BPI 4135.2를 보였다.
10위는 B-BPI 3975인 sk뷰로 조사됐다. 속성 지수 43.38, 언급량 지수 43.3, 감정분석 지수 40.48, PR 지수 18.68로 분석됐다.
특히 올 상반기 소비자의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아파트 브랜드 상위 3곳의 감성어를 분석한 결과, 부정어보다는 긍정어가 높은 비율로 언급됐다.
먼저 자이 브랜드와 관련해 언급된 감성어를 분석한 결과, △최고 △추천 △필요 △문제 △기대 △개발 △행복 △관심 △고민 △인근 순으로 나타났다. 자이로 가장 많이 언급된 10개의 키워드 중 8개가 긍정어, 2개가 부정어였다.
지난해 GS건설의 아파트 공급 물량은 약 2만9177가구(예정)로, 건설 업계에서 가장 많은 수준이다. 이 외에도, GS건설은 올해 초 총 2만8651가구의 자이 아파트를 선보인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힐스테이트 브랜드의 감성어를 분석한 결과, △최고 △인근 △개발 △필요 △관심 △기대 △상승 △추천 △지원 △중심 순으로 언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눈에 띄는 점은 언급된 상위 10개 키워드가 모두 긍정어를 보였다.
푸르지오로 올 상반기 언급된 키워드의 감성어를 분석한 결과, △추천 △최고 △필요 △문제 △개발 △관심 △상승 △인근 △행복 △근처 순으로 조사됐다. 키워드 9개가 긍정어, 1개가 부정어로 전반적으로 긍정적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다.
최지현 브랜드빅데이터연구소 대표는 “아파트 브랜드가 호감도 상위에 랭크될수록 부정적 이미지보다는 긍정적 이미지가 강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며 “이러한 빅데이터 분석은 소비자가 언급하는 모든 콘텐츠를 조사한 결과로 여론을 읽기에 적절하다”고 말했다.
BEST 뉴스
-
[단독] "LG전자, 직원 10명 중 4명 잘린다…초대형 희망퇴직"
LG전자가 대규모 감원에 돌입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LG전자 직원만 가입할 수 있는 폐쇄형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최근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담아 "기사화를 부탁한다"는 글이 올라왔다. 이 글의 작성자는 LG전자 소속을 인증한 LG전자 직원으로 추정된다는 점에서 신빙성 있는 자료로 분석된다. ... -
DB그룹 경영권 향방 중대 고비…김남호 명예회장, 법률 자문 검토
DB그룹 2세인 김남호 명예회장이 두 달 전 회장직에서 물러난 데 이어 내년 3월 사내이사직까지 내려놓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대응에 나설지 주목된다. 김남호 DB그룹 명예회장 사진=DB그룹 제공/연합 지난 6월 27일, DB그룹은 돌연 ... -
“출산 후 수혈 못 해 아내를 잃었다”…영주 A 병원 예고된 인재
지난 7월, 경북 영주시의 분만취약지 지원병원에서 출산 직후 산모가 과다출혈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병원은 매년 수억 원의 국비·지방비를 지원받는 지역응급의료기관이었지만, 정작 응급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혈액조차 확보하지 못해 비극을 막지 못했다. 이 사고는 한 개인의 불운이 아니라 제도적 허점...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박주민 “오세훈, 비(非)강남 버렸다”…경전철 공약 ‘빈 껍데기’ 전락
오세훈 서울시장 사진=연합뉴스 서울시가 추진해 온 강북·동북권 경전철 사업이 잇따라 좌초하면서 오세훈 시장의 균형발전 공약이 사실상 공염불에 그쳤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서울시당과 ‘새로운서울준비특별위원회’(위원장 박주민)는 21일 열린 ‘오세훈 시정 3... -
인천공항 제4활주로서 화물차 사고 사망…공항 안전관리 또 도마 위에
26일 오전 6시쯤 인천 중구 인천국제공항 제4활주로 인근에서 50대 남성 A씨가 몰던 1t 화물차가 공항 외곽 울타리를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했다. 인천국제공항 전경 [인천국제공항공사 제공. 연합뉴스] 사고 충격으로 크게 다친 A씨는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