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0.01%, 수도권 -0.04%, 광역시 0.08%, 도지역 0.01%, 세종시 -0.05%
수도권 아파트값이 조금씩 오르고 있다. 여야가 4.11대책인 양도세, 취득세 감면 조치 등을 합의하면서 인기지역 내 급매물 등이 들어가고 문의가 늘어나고 있다. 부동산뱅크 조사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값은 -0.01% 하락했고 서울시 0.01%, 버블세븐 0.04%, 수도권 -0.04%, 광역시 0.08%, 도지역 0.01%, 세종시 -0.05% 등 대부분의 지역이 강세를 보였다. 특히 서울 강남권이 0.07%로 2주 연속 강세를 보이면서 대책발이 제대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현장관계자들은 전한다.
<수도권>
서울시에서는 강남구가 0.12%, 동작구 0.09%, 양천구 0.07%, 영등포구 0.04%, 강북구 0.03%, 구로구 0.02%, 서대문구 0.01%, 노원구 0.01% 등은 강세를 보였다. 이어 강서구 0.00%, 광진구 0.00%, 성동구 0.00%, 은평구 0.00%, 종로구 0.00% 등은 보합을 보였다.
한편 중구 -0.45%, 금천구 -0.24%, 송파구 -0.09%, 동대문구 -0.08%, 서초구 -0.08%, 용산구 -0.07%, 마포구 -0.06%, 중랑구 -0.06%, 관악구 -0.04%, 성북구 -0.04%, 강동구 -0.01%, 도봉구 -0.01% 등은 집값이 떨어졌다.
재건축 아파트값도 0.10%로 올라 강세를 보이고 있다. 강남구 0.46%, 영등포구 0.30%, 서초구 0.02% 등은 집값이 올랐다. 이어 용산구 -0.51%, 강동구 -0.21%, 송파구 -0.13% 등은 약세였다.
버블세븐 지역들도 지난주부터 강세다. 강남권 0.07%, 목동 0.08%, 평촌신도시 0.05%, 용인시 0.00%, 분당신도시 -0.07% 등의 순이었다. 여야가 양도세 감면혜택 등 4.11대책에 합의하면서 강남권과 목동 등 고가아파트들이 밀집된 인기 지역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경기도에서는 연천군 1.27%, 여주군 0.24%, 양주시 0.14%, 파주시 0.13%, 안양시 0.10%, 이천시 0.09%, 수원시 0.03%, 남양주시 0.02% 등이 상승세를 보였다. 가평군 0.00%, 군포시 0.00%, 김포시 0.00%, 동두천시 0.00%, 시흥시 0.00%, 안성시 0.00%, 양평군 0.00%, 오산시 0.00%, 양평군 0.00%, 오산시 0.00%, 용인시 0.00%, 평택시 0.00%, 포천시 0.00% 등은 집값에 변동이 없었다.
한편 의정부시 -0.33%, 의왕시 -0.30%, 부천시 -0.13%, 구리시 -0.11%, 과천시 -0.10%, 하남시 -0.10%, 화성시 -0.10%, 안산시 -0.07%, 광주시 -0.06%, 성남시 -0.05%, 광명시 -0.02% 등은 집값이 떨어졌다.
인천시는 불황을 이어가고 있다. 서구 -1.05%, 부평구 0.85%, 계양구 -0.25%, 동구 -0.21%, 남동구 -0.08%, 연수구 -0.04%, 강화군 0.00%, 남구 0.00%, 중구 0.00% 등의 순이었다. 1기 신도시에서는 평촌 0.05%, 산본 0.00%, 일산 -0.01%, 분당 -0.08%, 중동 -0.33% 등의 순이었다.
<도지역/ 5대 광역시>
5대 광역시에서는 대구시 0.38%, 광주시 0.04%, 부산시 0.04%, 대전시 0.00%, 울산시 -0.01% 등이었다.
대구시에서는 달성군 1.47%, 서구 0.78%, 달서구 0.47%, 북구 0.18%, 동구 0.10%, 수성구 0.03%, 중구 0.00%, 남구 0.00% 등의 순이었다. 개별 아파트로는 달서구 대곡동 우방아파트 82㎡가 4,500만 원 오른 1억 5,900만 원에 시세가 형성돼 가장 많이 올랐다. 이어 달서구 용산동 용산보성도 2,000만 원 오른 1억 9,000만 원에 시세가 형성됐다.
한편 부산시에서는 동구 0.61%, 금정구 0.04%로 두 지역의 상승세가 높았고, 광주시에서는 서구만이 0.22% 올랐다. 이밖에 대부분의 지역들은 보합을 이어갔다.
도지역에서는 경상북도가 0.05%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어 강원도 0.00%, 경상남도 0.00%, 전라북도 0.00%, 전라남도 0.00%, 제주도 0.00%, 충청남도 0.00%, 충청북도 0.00% 등으로 대부분 보합에 머물렀다. 특히 경상북도에서는 칠곡군이 0.28%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이어 구미시가 0.14%로 2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이밖에 도지역도 대부분의 지역들이 보합에 머물렀다.
BEST 뉴스
-
[단독] "LG전자, 직원 10명 중 4명 잘린다…초대형 희망퇴직"
LG전자가 대규모 감원에 돌입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LG전자 직원만 가입할 수 있는 폐쇄형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최근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담아 "기사화를 부탁한다"는 글이 올라왔다. 이 글의 작성자는 LG전자 소속을 인증한 LG전자 직원으로 추정된다는 점에서 신빙성 있는 자료로 분석된다. ... -
DB그룹 경영권 향방 중대 고비…김남호 명예회장, 법률 자문 검토
DB그룹 2세인 김남호 명예회장이 두 달 전 회장직에서 물러난 데 이어 내년 3월 사내이사직까지 내려놓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대응에 나설지 주목된다. 김남호 DB그룹 명예회장 사진=DB그룹 제공/연합 지난 6월 27일, DB그룹은 돌연 ... -
“출산 후 수혈 못 해 아내를 잃었다”…영주 A 병원 예고된 인재
지난 7월, 경북 영주시의 분만취약지 지원병원에서 출산 직후 산모가 과다출혈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병원은 매년 수억 원의 국비·지방비를 지원받는 지역응급의료기관이었지만, 정작 응급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혈액조차 확보하지 못해 비극을 막지 못했다. 이 사고는 한 개인의 불운이 아니라 제도적 허점... -
박주민 “오세훈, 비(非)강남 버렸다”…경전철 공약 ‘빈 껍데기’ 전락
오세훈 서울시장 사진=연합뉴스 서울시가 추진해 온 강북·동북권 경전철 사업이 잇따라 좌초하면서 오세훈 시장의 균형발전 공약이 사실상 공염불에 그쳤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서울시당과 ‘새로운서울준비특별위원회’(위원장 박주민)는 21일 열린 ‘오세훈 시정 3...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인천공항 제4활주로서 화물차 사고 사망…공항 안전관리 또 도마 위에
26일 오전 6시쯤 인천 중구 인천국제공항 제4활주로 인근에서 50대 남성 A씨가 몰던 1t 화물차가 공항 외곽 울타리를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했다. 인천국제공항 전경 [인천국제공항공사 제공. 연합뉴스] 사고 충격으로 크게 다친 A씨는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