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한창일 때와 비교해 매출이 늘었다.
아마 코로나바이러스가 진정세에 접어들면서 군인들 외출이 허용되고,
움츠리었던 외국인들이 밖으로 나오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뭐니 뭐니 해도 가장 큰 요인은
정부에서 발급한 긴급재난카드가 가장 큰 효자 노릇을 하고 있다.
#1# 신문에 의하면
문재인대통령 “재난지원금, 소고기 샀다는 보도 봤다.....도움돼 기뻐”
“경제 위축으로 허리띠 졸라맸던 국민들의 마음에 와 닿아서 가슴이 뭉클하기도 하다”며 “재난
지원금이 힘겨운 사람들 마음을 따뜻하게 덮어주고 있는 것 같아서 보람을 느낀다”
재난카드가 정부가 의도한 대로 국민과 소상공인에게 도움을 준 예이다.
#2# 우리가계1
어머니들은 가족과 특히 아이를 위해
음료수, 과자, 우유 등을 구입해 간다.
남자들은 술과 담배가 대부분이다.
특히 남자들은 부담 없는 돈이 생겨 담배를 보루로 사 간다,
#3# 우리가게2
가게 앞 베란다.
상가 부근에 사는 고객들 재난카드로 막걸리 사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부어라 마셔라’이다.
나는 그들을 볼 때마다 짜증이 슬슬 올라온다.
그들은 담배꽁초 바닥에 버리고, 가래침 훅훅 뱉는다.
더욱이, 제 조상 무덤에서 고수레하듯이 막걸리 허공과 바닥에 뿌려댄다.
냄새가 온 주위에 진동한다.
그중 나이 가장 적게 보이는 손님은 아예 ‘봉’이다.
선배들은 그에게 재난카드로 막걸리 무한정 사도록 종용한다.
나는 그 손님에게 “재난카드로 선배들 술 사는데 다 사용할 거야,
제발 그러지마”라고 충고한다.
매일, 그 손님 선배들 손에 이끌리어 와서, 거나하게 취해서 집으로 돌아간다.
내 말보다 선배들이 무서운 모양이다.
#4# 우리가게3
3층 단란주점 여사장 급히 뛰어 내려와서
음료 선물 세트 주섬주섬 챙긴다.
손님들이 술 마시고 술값으로 재난카드 내밀어,
할 수 없이 주점에서 필요한 물건 사러 왔단다.
이마트24 본사 홈페이지에 ‘카드깡’ 하지 말라는 경고 문구
허튼소리 아니다.
#5# 우리집
내가 집사람에게 “여보 우리 재난카드 나왔어”
“응 발급받아 사용하고 있어”
집사람 가장의 허락도 안받고 자기가 사인해서 긴급재난지원금 받아 생필품 사서 쓴다고 한다.
어제 “여보 재난카드 사용해서 이번 달 카드요금 적게 나오겠네”했더니
“아니 마찬가지야”
집사람 언제나 당당하다.
그래서 집사람 좋아하지만^^*
글/사진= 편의점 아재 625(유기호) 이마트24 김포 통진읍사무소점 점주
♣편의점 아재 625 칼럼은 기존 기사체에서 벗어나 일상 속에서 느낀 점을 수필형 문체로 독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BEST 뉴스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 기술보다 중요한 것들
소상공인 사업장의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다. 요즘 거리의 가게를 보면, 무인결제기와 스마트미러, 키오스크가 낯설지 않다.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상점 기술보급사업은 초기 성과 면에서 눈에 띄는 변화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가게 문을 지키는 소상공인들은 이렇게 묻는다. ‘이 기술...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한때 활기가 넘쳤던 골목과 시장, 공장지대가 지금은 인구 감소와 경기 침체로 활력을 잃고 있다. 도심 공동화와 지방소멸의 그림자는 이미 우리 생활 곳곳으로 스며들었다. 도시재생사업은 이러한 쇠퇴한 지역을 다시 살리는 가장 현실적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단순한 건물 보수나 미관 개... -
[이상헌의 성공창업백서] 부동산과 창업, ‘공간경제’의 핵심 연결고리가 정답
창업은 흔히 ‘아이템’에서 시작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공간’에서 완성된다. 사업의 성패를 결정짓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가 바로 부동산이다. 상권 입지, 임대료, 유동인구, 공간 활용 구조 등 부동산 요소가 창업의 생존률을 좌우한다. 그만큼 부동산은 창업의 무대이자 진입장벽이며, 더 나아가 지... -
[이상헌의 성공창업 경제학] 민생회복지원금 후광효과 지속하려면…
정부가 경기 침체와 서민 경제의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추진한 ‘민생회복지원금’ 정책은 당초 국민들의 큰 기대를 모았다.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위축된 소비심리를 회복하고 내수를 진작시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숨통을 틔워주겠다는 목적이었다. 그러나 지원금 소비가 마무리되는 지금, 그 정...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창업 생태계의 리셋이 필요하다
국내 자영업의 위기가 통계로 드러났다. 최근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개인사업자 10명 중 7명이 월 100만원조차 벌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소득 0원’으로 신고한 사업장만 100만 곳을 넘어섰다. 자영업이 한국 경제의 절반을 지탱해 온 기반 산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는 단순한 경기 침체가 아니라 경제 생태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