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새로운 만들어진 단어가 자리 잡는 데에는 최소 몇 년이 걸린다. 2020년에는 코로나 대유행으로 불과 몇 달 만에 많은 새 용어가 미디어에서 사용되면서 보편적인 언어로 자리를 잡았다.
특히 생소한 질병관리학 분야 용어가 미디어의 뉴스 보도와 소통에 필수 용어로 탈바꿈했다. 뉴스와이어가 국내와 해외에서 올해 보편적인 용어로 자리 잡은 신조어와 유행어를 20개 선정했다.
비대면
얼굴을 마주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국내에서 언택트(untact)라는 말이 많이 쓰이는데, 이는 한국에서만 쓰이는 콩글리시다. 영어권에서는 contactless 또는 non-face-to-face라는 표현을 쓴다.
집단면역
herd immunity, community immunity라고 한다. 감염이나 예방접종을 통해 집단 내의 다수가 면역을 가지고 있으면, 전염병의 전파가 느려 지거나 멈추게 된다.
사회적 거리두기
social distancing은 감염 관리의 종류 중 하나로, 접촉을 줄여 질병의 전파를 늦추는 방법이다.
스테이케이션
Staycation은 집에 머무르며 집에서 당일 여행을 할 수 있는 거리 내에서 여가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숙박 시설이 필요하지 않다.
인간활동감소
anthropause는 인간의 활동이 갑자기 줄어들면서 환경, 에너지 소비, 여행 등에서 큰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뜻한다.
WFH
재택 근무(Working from home)의 약자. 집에서 일한다는 의미의 약자이다. 캘린더나 메신저에 WFH라고 표시하든지 I’ll be WFH. 라고 말한다. 반대로 회사에서 일한다는 WFO(Working from Office)라고 한다.
전염병 곡선
Epidemic curve는 특정 집단에서 질병 및 특히 감염성 질병의 발병과 진행을 묘사하는 그래프이다.
자가 격리
self-isolation은 전염병에 감염되었거나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자가 자신의 집에 칩거하여 스스로를 사회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을 말한다.
팬데믹
pandemic은 세계적으로 전염병이 대유행 하는 상황을 일컫는 말로 WHO 전염병 경보단계 중 최고 위험등급에 해당한다.
소셜 다이닝
socian dining은 소셜 네트워크의 발달로 새로이 등장한 소통방식이다. 온라인에서 관심사가 비슷한 사람들이 만나 식사하며 인간관계를 맺는 것을 말한다.
뇌섹남
뇌가 섹시한 남자의 줄임말. 단순히 공부 잘하거나 학벌, 스펙이 좋고 말발이 센 것이 아니라 영리하고, 센스와 위트가 넘치는 사람을 뜻한다. 이런 여자를 뇌섹녀로 부른다.
팬 아트
fan art는 소설, 만화, 영화, 게임 등에서 팬들이 원작을 참고해 만들어낸 미술 작품이다. 팬 아티스트들은 원작의 등장인물, 의상, 상품, 이야기 등을 따라 그리기도 하며, 이야기를 창작하기도 한다.
마이크로 타겟
Microtarget은 사람의 웹사이트 이용 기록, 시청 또는 응답 정보 등을 기반으로 맞춤형 광고, 정치 메시지 등을 개인에 맞게 전달하는 기법이다.
딥 페이크
deepfake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기존에 있던 인물이 하지 않은 일을 행하거나 말하지 않은 것을 말한 것처럼 조작하는 영상 이미지 또는 기록이다.
성별 공개
Gender Reveal는 부모가 태아의 성별을 공개하는 것으로, 미국과 유럽에서는 성별 공개 파티가 유행이 되고 있다.
필터 버블
filter bubble은 인터넷 정보제공자가 이용자에 맞추어 필터링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가 정보 편식을 하게 되고 그로 인해 가치관 왜곡이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더닝 크루거 효과
Dunning-Kruger Effect는 능력이 없는 사람이 잘못된 결정을 내리지만, 능력이 없기 때문에 자신의 실수를 알아차리지 못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Techlash
기술(Technology)과 백래시(Backlash)의 합성어로, 대형IT기업이나 제품에 대한 부정적 정서를 뜻한다. 백래시는 나사 등 기계 장치에 운동방향으로 일부러 만든 틈이다. 백래시는 마모에 의해 늘어나기 때문에 진동이나 소음 발생의 원인이 된다.
Black Lives Matter
흔히 BLM으로 줄여 쓴다. 미국에서 흑인 George Floyd에 대한 경찰의 잔인한 살인에 대항하는 비폭력 시민불복종을 옹호하는 조직화된 움직임을 말한다.
Amirite
‘am I right’의 유머적 표현이다. 소셜미디어에서 동의를 얻어내려고 할 때, 말 뒤에 흔히 붙여서 쓰는 표현이다.
BEST 뉴스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올림픽대로 끝자락 ‘스테이지28’ 민간 표지판이 9개나?
서울 강동구 고덕동, 올림픽대로의 끝자락을 달리다 보면 눈에 띄는 표지판이 있다. KB뉴스영상 화면 갈무리 출처=KBS ‘3차로로 진입하세요’라는 안내 바로 옆에 ‘스테이지28 방향’이라는 글씨가 붙어 있다. 분기점에도, 진입로에도, 측도에도 같은 표지판이 반복된다. 세어보니 ... -
[단독] 삼성 갤럭시폰, 이미지 파일로 원격 해킹 가능?
반고흐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 기기로 사용되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CVE-2025-21043)이 확인됐다. 제로데이 공격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 -
[단독] 환율 미쳤다…미국 공항서 달러당 2100원에 거래 중
미국에서 1달러를 매입하려면 한화를 2000원 이상 지불해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만큼 원화 가치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일러스트=픽사베이 13일 미국 캘리포니아 현지 관계자에 따르면, 12일(현지시간) LA LAX공항 내부 환전소에서 교민들이 달러를 구입할 ... -
신원근 진학사 대표, 국감 증인 출석… ‘스타트업 기술탈취’ 의혹 도마에
신원근 진학사 대표가 22대 국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중소기업 기술탈취 관련 질의를 받게 됐다. 29일 국회에 따르면 신 대표는 오는 10월 14일에 열리는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의 국정감사에 출석요구될 증인 명단에 포함됐다. 신원근 진학사 대표 사진출차=SNS ... -
국가AI전략위, ‘AI정부’ 전환 TF 출범…아토리서치 정재웅 대표 주목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 시스템이 마비된 사태 이후, 정부가 근본적 해결책 마련에 나섰다.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위원장 이재명 대통령, 이하 위원회)는 29일 ‘AI 인프라 거버넌스·혁신 TF’ 구성을 공식화했다. 이 TF의 공동 리더로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 겸 CA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