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산업재해 사망자 10명 중 8명,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발생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8.24 11:51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최근 3년간 고령 노동자 비중 58%…“원청 책임 강화 필요”

PYH2025022609740006100.jpg
서울세종고속도로 건설 현장에서 교각 위에 설치 중이던 교량 상판 구조물이 무너진 사고 현장 모습. 사진=연합뉴스

 

최근 3년간 발생한 산업재해 사망사고의 80% 이상이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0세 이상 고령 노동자의 사망 비중이 전체의 절반을 넘어 구조적 안전 사각지대가 여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의원(경기 화성병)이 고용노동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체 산재 사망사고 중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발생한 비율은 ▲2022년 80.8%(707명), ▲2023년 78.4%(637명), ▲2024년 81%(670명)에 달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이 3년간 1,086명(43.25%)으로 가장 많았고, 제조업이 536명(21.32%)으로 뒤를 이었다.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 고령 노동자가 1,463명(58.2%)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50~59세가 28.4%(771명), 40~49세가 14.1%(379명)였다.


권 의원은 “외주화와 하청 구조 속에서 고령·취약 노동자에게 위험이 집중되고 있다”며 “원청의 사용자 책임을 명확히 하지 않고서는 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어 “노동자가 실질적 사용자에게 안전을 요구할 권리를 보장하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거북섬 아파트 공사장 사망… 하청 현장소장 입건, 원청 대우건설로 수사 확대?
  • 농수산식품유통공사, ‘금배추’ 대란 자초
  • 의사소통 장애인 도우미 교육 올해도 개시
  • K-푸드 인기 속 ‘즉석밥 대박’… 그러나 속을 들여다보면 미국산 쌀
  • ‘해 짧아지니 카페인도 줄인다’…가을 저녁, 디카페인 커피 뜬다
  • 뇌사 장기기증, 5년 만에 최저… 이식 기다림은 길어졌다
  • 휴게소 음식 22건 위반… 도로공사 ‘위생관리 구멍’
  • AI, 석굴암·첨성대 왜곡… “국가 차원 바로잡아야”
  • 깜깜이 ESS 웃돈, 200조 빚더미 한전에 폭탄 추가되는 꼴
  • 해외직구 물품서 방사성 물질 검출… “생활 속 노출 우려”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산업재해 사망자 10명 중 8명,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발생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