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K5가 11개월간 국내에서 시판된 주요 중형급 세단 브랜드 12개 가운데 가장 높은 소비자 관심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자동차 쏘나타, BMW 3시리즈가 뒤를 이었다.
21일 여론조사기관 데이터앤리서치는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X(옛 트위터)·인스타그램·유튜브·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단체·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3만 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지난 1월부터 11월까지 국내시판 중형급 세단 브랜드 12개의 관심도(정보량=포스팅 수)를 빅데이터 분석했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은 전기차 포함, 시판 중형 세단 중 임의 선정했으며 정보량 순으로 △기아 K5 △현대 쏘나타 △BMW 3시리즈 △현대차 아이오닉6 △아우디 A4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혼다 어코드 △르노코리아 SM6 △볼보 S60 △폭스바겐 아테온 △토요타 캠리 △푸조 508 등이다.
조사 키워드는 '기업명 or 브랜드 이름' + ‘모델 이름’을 합산 분석했으며 한글 기준 15자 이내인 경우만 결과값으로 도출하도록 했기 때문에 실제 정보량은 달라질 수도 있다. 커뮤니티 내 중고차업체 도배 키워드, 출석·가입인사, 스포츠 선수 등의 가비지는 제외어로 처리했다.
분석 결과, 기아 K5가 조사 기간 총 7만 2,795건의 포스팅 수로 국내 시판되고 있는 중형 세단 관심도 1위에 올랐다.
우선 K5의 부분 변경(페이스리프트) 모델인 ‘더 뉴 K5’ 출시에 대한 게시물이 다수 커뮤니티 채널에서 포착됐다.
지난 11월 네이버 차량 정보 카페의 한 유저는 서울숲에서 열린 더 뉴 K5 팝업 스토어 ‘The Power to Progress’ 오픈 소식을 공유했다. 생활 정보를 전달하는 한 다음 카페에도 더 뉴 K5 출시 소식이 전해지면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ccNC’가 적용된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와 ‘인포테인먼트 공조 전환 조작계’등 첨단 기술이 적용됐다는 내용이 부각됐다.
9월 에펨코리아의 한 유저는 당시 11월 출시를 앞두고 있던 더 뉴 K5의 최종 주행 테스트 사진을 올렸다. 이 글에는 “뒷모습 괜찮으려나”, “쏘나타 잡나요?”, “기존 K5보다 예쁘게 나올 수가 있는 지가 제일 궁금하다” 등 다양한 답글이 올라왔다.
나주 지역 커뮤니티에는 2023 코리아세일페스타(코세페)를 맞아 현대차그룹이 현대·기아차에 대한 할인 판매를 진행한다는 기사가 공유됐다. K5의 경우 하이브리드(HEV) 포함 최대 7% 가격이 할인된다는 내용이 담겼다.
K5 구매 인증샷이나 구매 관련 글들도 복수의 커뮤니티 채널에서 확인됐다. 4월 인스타그램 ‘x2***’ 계정에는 “운전면허 딴 지 20년 만에 첫 차”라는 글과 함께 K5 신차 인증샷이 올라왔다.
지난 1월 클리앙의 한 유저는 “기아 K5나 K3 구매 계획 중”이라며 “할인이나 용품 서비스는 어떻게 받아야 좋겠냐”는 질문을 내놓았다. 이에 “대리점이 혜택이 좋고, 현금지급은 잘 안하는 분위기”, “차 by 차라서 다*와랑 해당차량 카페에 글 올리고 견적이나 상담 받아봐야”, “해당차량 동호회가서 같은 질문을 하시면 쪽지가 많이 온다”며 “그 분과 거래하거나 또는 집 근처 개인대리점으로 가셔서 잘 협상하시는 것도 방법”이라는 조언성 댓글이 달렸다.
2위는 1월부터 11월까지 총 6만 691건의 정보량을 기록한 현대차 쏘나타가 차지했다.
지난 5월 출시된 8세대 쏘나타의 페이스리프트 모델 ‘쏘나타 디 엣지’를 다룬 글들이 다수 채널에서 목격됐다.
11월 ‘현**’이라는 네이버블로거는 ‘쏘나타 디 엣지 N라인 시승기’라는 제하의 글에서 “크래시 패드 부품의 경우, 풀체인지인가 싶을 정도로 많이 달라졌다”면서도 “스티어링 휠은 뭔가 쏘나타 이미지와는 조금 안 맞아 보인다”는 개인 의견을 제시했다.
8월 골프·차량 인플루언서인 ‘박**’의 블로그에 올라온 액화석유가스(LPG) 모델 시승기에는 해당 모델이 연비와 경제성까지 다 잡았다며 “인테리어의 경우 중형 세단의 실내공간과 크기를 보여주는 거 같고, 4인 가족 패밀리카로서도 충분해 보였다”는 소감이 담겼다.
이 밖에도 “아파트에 퇴근 시간이 겹치는 주민이 디 엣지를 몰고 계신데 밤에 보면 진짜 미쳤다”며 “2.5t면 출력도 훌륭하고 가격도 나쁘지 않아 보인다”는 보배드림 게시판의 글도 눈길을 끌었다.
7월 뽐뿌 자동차 포럼의 한 유저는 ‘부모님 타실 가성비 좋은 중고차’라는 제하의 글에서 “차에 대해 아는 것이 많이 부족해서 조언이 필요하다”며 후보 차량으로 현대 LF·YF 쏘나타를 비롯해 △기아 K5 2세대 이상 2015년식 △르노삼성 SM6 2016년식 등을 소개했다.
이어 BMW 3시리즈가 5만 7,872건의 정보량으로 3위에 자리했다.
11월 TISTORY의 ‘꿀****’라는 유저는 2024 BMW 3시리즈 투어링에 대한 포스팅을 작성했다.
이 유저는 해당 모델의 제원 정보 및 실내, 외관 디자인 등을 다루면서 “2024 BMW 3시리즈 투어링은 BMW 3시리즈의 왜건 모델”이라며 “우수한 주행 성능과 실용성, 최신 안전 기술을 모두 갖춰 도심에서 주행하기도 좋고, 캠핑이나 여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기 좋은 모델”이라는 평가를 남겼다.
4위 현대차 아이오닉6는 11개월간 4만 6,827건의 정보량이 집계됐다.
아우디 A4는 4만 6,050건의 포스팅 수로 5위에 랭크됐다.
6위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는 조사 기간 총 정보량 4만 5,592건을 기록했다. 아우디A4와의 격차는 458건에 불과했다.
이어 혼다 어코드 2만 7,808건, 르노코리아 SM6 2만 4,286건, 볼보 S60 1만 7,538건, 폭스바겐 아테온 9,735건 순으로 각각 7~10위를 지켰다.
토요타 캠리는 11개월간 8,327건의 정보량으로 11위에 자리했다.
지난 1월부터 11월까지 푸조 508의 온라인 포스팅 수는 6,652건으로 집계됐다.
데이터앤리서치 관계자는 “올 1~11월 소비자들의 중형 세단에 대한 관심도는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0%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내년에 금리가 인하하면 관심도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전했다.
BEST 뉴스
-
[단독] "LG전자, 직원 10명 중 4명 잘린다…초대형 희망퇴직"
LG전자가 대규모 감원에 돌입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LG전자 직원만 가입할 수 있는 폐쇄형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최근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담아 "기사화를 부탁한다"는 글이 올라왔다. 이 글의 작성자는 LG전자 소속을 인증한 LG전자 직원으로 추정된다는 점에서 신빙성 있는 자료로 분석된다. ... -
DB그룹 경영권 향방 중대 고비…김남호 명예회장, 법률 자문 검토
DB그룹 2세인 김남호 명예회장이 두 달 전 회장직에서 물러난 데 이어 내년 3월 사내이사직까지 내려놓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대응에 나설지 주목된다. 김남호 DB그룹 명예회장 사진=DB그룹 제공/연합 지난 6월 27일, DB그룹은 돌연 ... -
“출산 후 수혈 못 해 아내를 잃었다”…영주 A 병원 예고된 인재
지난 7월, 경북 영주시의 분만취약지 지원병원에서 출산 직후 산모가 과다출혈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병원은 매년 수억 원의 국비·지방비를 지원받는 지역응급의료기관이었지만, 정작 응급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혈액조차 확보하지 못해 비극을 막지 못했다. 이 사고는 한 개인의 불운이 아니라 제도적 허점... -
박주민 “오세훈, 비(非)강남 버렸다”…경전철 공약 ‘빈 껍데기’ 전락
오세훈 서울시장 사진=연합뉴스 서울시가 추진해 온 강북·동북권 경전철 사업이 잇따라 좌초하면서 오세훈 시장의 균형발전 공약이 사실상 공염불에 그쳤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서울시당과 ‘새로운서울준비특별위원회’(위원장 박주민)는 21일 열린 ‘오세훈 시정 3... -
인천공항 제4활주로서 화물차 사고 사망…공항 안전관리 또 도마 위에
26일 오전 6시쯤 인천 중구 인천국제공항 제4활주로 인근에서 50대 남성 A씨가 몰던 1t 화물차가 공항 외곽 울타리를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했다. 인천국제공항 전경 [인천국제공항공사 제공. 연합뉴스] 사고 충격으로 크게 다친 A씨는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숨... -
DL건설, 추락사고에 ‘초강수’…대표부터 현장소장까지 80여명 일괄 사표
공사장 사고 일러스트-연합뉴스 경기도 의정부 아파트 신축 현장에서 50대 근로자가 추락해 숨진 사고가 발생하자, DL건설이 사실상 ‘전사 해체’에 가까운 초강수 조치를 내렸다. 대표이사부터 최고안전책임자(CSO), 임원진, 팀장, 현장소장까지 80여명이 줄줄이 사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