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계열 로봇 전문업체 보스턴다이나믹스가 인공지능(AI)으로 작동하는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ATLAS)’의 새로운 작업 영상을 20일(현지시각) 공개했다.

이번 영상은 로봇이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도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며 지능적으로 대응하는 장면을 담았다.
보스턴다이나믹스는 도요타리서치연구소(TRI)와 협업해 개발한 ‘거대행동모델(Large Behavior Model·LBM)’을 아틀라스에 적용, 사람처럼 판단하고 자연스럽게 동작할 수 있도록 했다.

작년까지만 해도 단순 운반 작업을 수행하던 아틀라스는 이번 영상에서 로봇개 ‘스팟(SPOT)’의 부품을 적재함이나 선반에 옮기는 과정을 선보였다. 특히 연구원이 의도적으로 부품 상자의 뚜껑을 닫거나 부품을 떨어뜨려 작업을 방해하자, 아틀라스는 뚜껑을 열고 떨어진 부품을 주워 다시 박스에 담는 등 즉각적이고 유연한 대응 능력을 보여줬다.

또한 부품이 선반에 걸려 들어가지 않자 박스를 꺼내 적재한 뒤 다시 제자리에 옮기는 모습도 연출했다. 단순 지시 수행을 넘어 작업 현장의 변수를 스스로 판단하고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
아틀라스에 적용된 거대행동모델은 로봇이 텍스트·이미지·영상 등 대규모 데이터를 학습해 자율적으로 행동하도록 돕는 AI 모델이다. 별도의 코드 수정 없이 다양한 사물을 다룰 수 있으며, 동작 속도를 최대 두 배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는 평가다.
보스턴다이나믹스는 아틀라스를 밧줄 매듭짓기나 이불 펼치기 같은 비정형 작업에도 적응하도록 훈련하고 있다. 회사 측은 “생산 현장뿐 아니라 가정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번 시연은 도요타리서치연구소와의 공동 연구 성과로, 양사는 앞으로도 고급 조작 능력과 역동적 움직임을 갖춘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이어갈 계획이다.
스캇 쿠인데르스마 보스턴다이나믹스 로보틱스 연구담당은 “이번 영상은 범용 로봇이 어떻게 일상과 업무 환경을 바꿀 수 있을지 보여주는 사례”라며 “다양한 작업을 위한 단일 신경망 학습은 고성능 로봇이 전신을 정교하게 사용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BEST 뉴스
-
[단독] 포스코이앤씨 폭행 사망 사건 재조명… “도덕성 추락의 끝은 어디인가”
지난 2022년 12월 포스코이앤씨의 공사현장에서 벌어진 폭행 사망 사건이 재조명되며 국민적 공분을 사고 있다. 최근 잇따른 사망사고에 책임을 지고 정희민 포스코이앤씨 대표가 5일 사의를 표명한 가운데, 조용히 묻혔던 ‘감리단 공무팀장 폭행치사 사건’은 단순한 사고가 아닌 예고된 비극이었다는 정황이 속속 드러... -
[단독] "LG전자, 직원 10명 중 4명 잘린다…초대형 희망퇴직"
LG전자가 대규모 감원에 돌입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LG전자 직원만 가입할 수 있는 폐쇄형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최근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담아 "기사화를 부탁한다"는 글이 올라왔다. 이 글의 작성자는 LG전자 소속을 인증한 LG전자 직원으로 추정된다는 점에서 신빙성 있는 자료로 분석된다. ... -
[단독] 반얀트리 계열 5성급 호텔이 불법노동자를…카시아 속초, 저품질 서비스 논란
5성급 호텔을 표방하고 나선 카시아 속초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서비스로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와 같은 서비스의 배경엔 불법체류자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5성급 호텔의 명성에 미치지 못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유 중 하나로 풀이된다. 카시아 속초 전경 이미지=... -
DB그룹 경영권 향방 중대 고비…김남호 명예회장, 법률 자문 검토
DB그룹 2세인 김남호 명예회장이 두 달 전 회장직에서 물러난 데 이어 내년 3월 사내이사직까지 내려놓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대응에 나설지 주목된다. 김남호 DB그룹 명예회장 사진=DB그룹 제공/연합 지난 6월 27일, DB그룹은 돌연 ... -
[단독] “백종원 믿었는데”…폐업 점주의 마지막 호소
경기도의 한 가맹점주가 폐업을 결심하며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에게 호소문을 남겼다. 이 점주는 창업 전부터 브랜드를 신뢰하며 큰 투자를 감행했지만, 본사의 무책임한 대응과 구조적인 문제로 극심한 운영난을 겪은 끝에 결국 가게 문을 닫는다고 밝혔다. 이미지출처=롤링... -
“출산 후 수혈 못 해 아내를 잃었다”…영주 A 병원 예고된 인재
지난 7월, 경북 영주시의 분만취약지 지원병원에서 출산 직후 산모가 과다출혈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병원은 매년 수억 원의 국비·지방비를 지원받는 지역응급의료기관이었지만, 정작 응급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혈액조차 확보하지 못해 비극을 막지 못했다. 이 사고는 한 개인의 불운이 아니라 제도적 허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