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한 해 동안 전국에서 열린 교권보호위원회(교보위) 건수가 4,199건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보다 전체 건수는 소폭 줄었지만, 상해·성폭력 등 중대 침해 사례는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백승아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교육위원회 소속)이 12일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교보위 개최 건수는 4,199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5,050건)보다는 소폭 줄었지만, 2019년(2,662건)과 비교하면 1,500건 이상 증가한 수치다. 서이초 교사 사망 사건 이후 교권 강화 목소리가 높아졌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많은 교사들이 교육활동 침해에 시달리고 있는 셈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1,054건, 서울 583건, 경남 282건, 인천 277건 순으로 많았다. 특히 유치원은 약 5배, 초등학교는 1.2배 증가해 저학년 교사들을 중심으로 피해 사례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 유형은 ‘교육활동 방해’(29.3%)와 ‘모욕·명예훼손’(25.1%)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상해·폭행’(12.2%), ‘성폭력 범죄’(3.5%), ‘영상 무단 합성·배포’(3.0%) 등 중대 침해 건수는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피신고자 중 학생이 89%, 보호자가 11%를 차지했으며, 학부모 등 보호자 비중이 전년보다 크게 증가한 점도 주목된다. 교권침해가 단순히 교사-학생 간 갈등을 넘어 학부모까지 확산되고 있다는 의미다.
학생 징계 조치는 출석정지(27.3%), 학교봉사(23.5%), 사회봉사(19.0%) 등이 많았고, 전학(8.4%), 퇴학(1.4%) 등 중징계 비율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자 조치 역시 대부분이 서면 사과 및 재발 방지 서약(35.7%), 특별교육(22.9%) 등으로, 법적 조치로 이어진 경우는 3%에 불과했다.
백 의원은 “교사의 교육활동 보호는 공교육 지속성과 직결되는 문제”라며 “서이초 사건 이후 법·제도는 일부 정비됐지만, 여전히 많은 교사들이 상해, 성폭력, 영상합성 등 심각한 침해에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교사가 웃을 수 없는 교실에서는 아이들도 행복할 수 없다”며 “국회 입성 후 ‘서이초 특별법’을 통과시켰지만, 갈 길은 여전히 멀다”고 했다. 이어 “수천억을 AI 디지털 교과서에 쓰고, 의대 정원 갈등으로 교육현장을 흔드는 정부가 아니라, 교사의 존엄과 권리를 지킬 수 있는 정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BEST 뉴스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단독] 삼성 갤럭시폰, 이미지 파일로 원격 해킹 가능?
반고흐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 기기로 사용되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CVE-2025-21043)이 확인됐다. 제로데이 공격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 -
“티웨이보단 나을줄 알았다…분노의 대한항공 결항기”
지난해 티웨이항공이 이른바 ‘항공기 바꿔치기’가 항공업계의 역대급 결항 사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당시 사건을 뺨치는 사태가 발생했다. 심지어 LCC가 아니라 FSC인 대한항공이라는 점에서 승객들의 비판이 커지고 있다. 대한항공 사진=연합뉴스 항공업계에 따르면, 지난...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 -
ITX 열차 10대 중 7대 ‘미납’… 고의 지연 업체, 입찰 제한 추진
노후 무궁화호 대체를 위해 도입 중인 ITX-마음 열차가 계약 물량의 3분의 2 이상 납품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계약을 따낸 업체의 반복적인 지연에도 실질적인 제재 수단이 없어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북구갑)이 한국철도공사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