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경기남부경찰청 산업기술안보수사대는 지난해 7월부터 대한전선과 가운종합건축사무소 관계자 등을 부정경쟁방지법 및 영업비밀보호법 위반 혐의로 수사해왔다. 경찰은 세 차례 압수수색과 다수의 피의자 조사를 진행했지만, 결과 발표 시기는 확정하지 못했다.
사건은 대한전선이 충남 당진 해저케이블 공장 건설을 가운에 맡기면서 불거졌다. 가운은 15년 넘게 LS전선 해저케이블 공장 설계를 전담해온 곳으로, 공장 노하우가 대한전선으로 유출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LS전선은 “기술 탈취가 확인되면 국내외 가능한 모든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했고, 대한전선은 “혐의가 없을 경우 민형사상 대응에 나설 것”이라며 맞섰다. 문제는 영업비밀 입증의 난항이다.
특허와 달리 비공개 설계·공정은 객관적 증거 확보가 쉽지 않고, ‘독립 설계’ 항변과 충돌하는 사례가 많다. 업계는 이번 사건이 어느 방향으로든 수조 원대 민사 소송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분쟁은 모회사 간 대결로 확산됐다. 호반그룹은 LS 지분을 약 4%까지 확보했고, 하림그룹 계열 팬오션도 LS 주식을 매입하며 우군에 가세했다. 반면 LS는 대한항공에 650억 원 규모 교환사채를 발행하며 한진그룹과 손잡았다. LS 오너 일가는 자회사 지분 677억 원어치를 처분해 지배구조 방어 자금을 마련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업계에서는 경찰 수사 결과가 발표되는 순간, 국내외 발주·입찰 구도와 해저케이블 산업 지형이 크게 변할 수 있다고 본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기술 유출 여부를 넘어 한국 재계의 세력 균형과 산업 경쟁력에 직결된 분수령으로 평가된다.
BEST 뉴스
-
[단독] 환율 미쳤다…미국 공항서 달러당 2100원에 거래 중
미국에서 1달러를 매입하려면 한화를 2000원 이상 지불해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만큼 원화 가치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일러스트=픽사베이 13일 미국 캘리포니아 현지 관계자에 따르면, 12일(현지시간) LA LAX공항 내부 환전소에서 교민들이 달러를 구입할 ... -
올림픽대로 끝자락 ‘스테이지28’ 민간 표지판이 9개나?
서울 강동구 고덕동, 올림픽대로의 끝자락을 달리다 보면 눈에 띄는 표지판이 있다. KB뉴스영상 화면 갈무리 출처=KBS ‘3차로로 진입하세요’라는 안내 바로 옆에 ‘스테이지28 방향’이라는 글씨가 붙어 있다. 분기점에도, 진입로에도, 측도에도 같은 표지판이 반복된다. 세어보니 ... -
가평 크리스탈밸리CC서 카트 추락…70대 근로자 사망
18일 오후 1시경 경기도 가평군 상면 대보리 소재 크리스탈밸리 컨트리클럽(CC) 내 도로에서 작업용 카트가 5미터 아래로 추락해 70대 근로자 2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즉시 구조에 나섰으나, 두 사람 모두 심정지 상태로 발견돼 병원으로 이송된 뒤 사망 판정을 받았다. 사... -
[단독] FDA에 이름 오른 '에이피알'… 'K-뷰티 신화'에 드리운 먹구름
에이피알(APR) 김병훈 대표 사진=연합뉴스 ‘메디큐브(Medicube)’로 대표되는 에이피알(APR)은 국내를 넘어 세계 시장에서 K-뷰티의 새로운 신화를 써 내려가고 있다. 에이피알을 이끄는 김병훈 대표는 ‘디지털 감각’과 ‘공격적 마케팅’으로 SNS 중심의 브랜드 확산 전략을 ... -
매크로 예매는 불법인데… 티켓베이는 왜 처벌받지 않나
티켓구매 (CG) [연합뉴스TV 제공] 프로야구와 인기 가수 공연 티켓을 자동 프로그램(매크로)으로 대량 예매해 되판 업자들이 잇따라 적발되고 있다. 경찰은 최근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프로야구 입장권을 무더기로 예매한 일당을 검거했다. 이들은 초당 수백 회 클릭... -
호반그룹, 성장인가 무리수인가
김상열 호반그룹 회장과 장남 김대헌 사장 사진출처=연합뉴스 인천 송도의 호반써밋송도오피스텔에서 시작된 전기료 소송이 호반그룹의 책임 구조를 둘러싼 근본적 질문으로 번지고 있다. 입주민들은 “인근 단지보다 두 배 이상 전기료를 내고 있다”며 시공사인 호반건설을 상대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