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OK저축은행, PF·대출 부실 ‘경고등’… 내부통제 구멍 드러나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9.26 23:38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연체율 급등에도 부실 정리 지연… 고금리·수수료 논란까지

35545453.jpg
사진=연합뉴스

 

금융감독원이 OK저축은행을 상대로 내린 ‘경영유의사항’이 무려 7건에 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이 위험 수위를 넘어섰는데도, 부실 정리와 리스크 관리가 제때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OK저축은행의 PF·토지담보대출 연체율은 16.77%,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20%를 넘어섰다. 대출 잔액만 2조 원 규모다. 6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을 3개월 내 정리해야 함에도, 실제로는 경·공매 절차를 늦추거나 자산 회수액 산정에 부실이 드러났다.


개인사업자 주택담보대출도 상황은 비슷하다. 연체율이 12%를 넘고,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15% 이상으로 치솟았다. 특히 LTV 100% 초과 대출이 30%에 육박하고, 후순위 대출은 70% 가까이 차지해 원금 손실 위험이 크다는 분석이다.


대출 건전성이 흔들리는 상황에서도 OK저축은행은 과도한 수수료 수취 정황이 드러났다. 공동대출에 단순 참여만 하고도 높은 수수료를 챙기거나, 자문 서비스 증빙이 부족한 상태에서 자문료를 받는 사례가 적발됐다. 사실상 차주에게 불필요한 금융 부담을 안긴 셈이다.


또한 개인신용대출 금리 산정 과정에서 차주의 실제 신용 수준을 반영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높은 손실률(75%)을 적용, 우량 차주까지 고금리에 노출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통제 부실은 투자·지배구조 영역에서도 드러났다. JB금융지주 주식 보유 한도를 초과한 채 매입을 지속했고, 이사회 의결·위험관리 승인 절차를 무시한 투자 사례가 반복됐다.


대표이사가 감사위원 중임을 위해 직접 임원후보추천위에 참여해 의결권을 행사하는 등 지배구조 상 문제도 드러났다. 전문가들은 “내부 감사 체계 전반의 근본적 정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금융당국은 “리스크 관리 역량 강화와 내부통제 개선”을 강력히 주문했지만, OK저축은행이 빠른 시일 내에 체질을 개선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서민 금융기관으로서의 신뢰도에 의문이 제기되는 이유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강원랜드 ‘콤프’ 5,700억 원 지급, 불법 사용 속수무책
  • 새마을금고 금융사고 6년간 440억…임직원 제재공시 350건 넘어
  • 중소기업 돕는다더니…공공기관, ‘수수료 100억 챙기기’ 논란
  • 보훈급여 부정수급 47억 신규 적발
  • 김건희 일가 운영 요양원, 노인학대 판정서 공개
  • “무단 카드결제 피해, 책임은 소비자 아닌 카드사·금감원에” 소비자단체 성명
  •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 최소 19명 더… “축소·은폐 전형” 비판
  • ‘LTV는 국민만’… LH·HUG 직원 사내대출 논란
  • 국립공원 불법행위 매년 수백 건… 취사·흡연 여전
  • 한국은행 자체감사 3년 연속 최하위권… 예산·인력도 부족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OK저축은행, PF·대출 부실 ‘경고등’… 내부통제 구멍 드러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