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해외직구 건수가 9천만 건을 넘어섰다. 건수는 지난해보다 늘었지만 금액은 소폭 줄었다. 특히 중국발 직구가 전체의 77%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비중을 보였다. 하지만 되팔이(재판매)와 밀수 적발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제도 개선 요구가 커지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부산 북구을)이 관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해외 전자상거래 물품 수입은 9,142만9천여 건, 금액은 29억1,4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8,917만1천 건, 29억4,300만 달러)과 비교해 건수는 2.5% 늘었지만 금액은 0.9% 줄었다.
국가별 비중은 중국이 7,083만1천 건으로 전체의 77%를 차지했고, 이어 미국(1,056만9천 건), 일본(391만5천 건) 순이었다.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발 플랫폼 열풍에 힘입어 물량은 해마다 급증하고 있다. 해외직구 전체 수입 건수는 2021년 8,838만 건에서 지난해 1억8,118만 건으로 두 배 이상 늘었고, 이 가운데 중국발은 4,394만 건에서 1억3,423만 건으로 3배 가까이 뛰었다.
이 과정에서 불법 행위도 잇따르고 있다. 해외직구 물품을 재판매하는 이른바 ‘되팔이’ 신고 건수는 2021년 1,225건에서 2023년 593건으로 줄었다가 지난해 716건으로 다시 늘었고, 올해도 7월 말까지 이미 334건이 접수됐다.
밀수 적발액도 급증세다. 2021년 281억 원(162건)에 그쳤던 밀수 적발액은 2023년 1,149억 원(169건)으로 4배 넘게 늘었다. 지난해는 1,081억 원(186건)으로 소폭 줄었지만 올해 상반기 이미 550억 원(51건)이 적발됐다.

박 의원은 “편리함 뒤에 가려진 불법·위해물품 반입 증가가 해외직구의 어두운 단면”이라며 “중국 플랫폼이 국내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면서 영세 자영업자 피해는 물론 개인정보 유출, 짝퉁·저품질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정부의 각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BEST 뉴스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티웨이보단 나을줄 알았다…분노의 대한항공 결항기”
지난해 티웨이항공이 이른바 ‘항공기 바꿔치기’가 항공업계의 역대급 결항 사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당시 사건을 뺨치는 사태가 발생했다. 심지어 LCC가 아니라 FSC인 대한항공이라는 점에서 승객들의 비판이 커지고 있다. 대한항공 사진=연합뉴스 항공업계에 따르면, 지난... -
[단독] 삼성 갤럭시폰, 이미지 파일로 원격 해킹 가능?
반고흐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 기기로 사용되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CVE-2025-21043)이 확인됐다. 제로데이 공격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 -
ITX 열차 10대 중 7대 ‘미납’… 고의 지연 업체, 입찰 제한 추진
노후 무궁화호 대체를 위해 도입 중인 ITX-마음 열차가 계약 물량의 3분의 2 이상 납품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계약을 따낸 업체의 반복적인 지연에도 실질적인 제재 수단이 없어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북구갑)이 한국철도공사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