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불황에서도… ‘사상 최대 실적’ 낸 기업들

  • 류근석 기자
  • 입력 2019.12.17 10:54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미중 무역분쟁과 한일 수출 갈등 등 악재 속에서도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기업들이 있다. 이들 기업들은 준비된 전략으로 새로운 기회를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대기업집단 전문 데이터서비스 ‘인포빅스’가 10대 그룹의 금융사를 제외한 상장 계열사 90곳의 3분기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들의 3분기 영업이익은 총 6조162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6% 감소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에서 촉발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기조와 일본 수출 규제 장기화, 중동 리스크 등으로 글로벌 경기가 악화된 게 주된 요인이다.

 하지만 오히려 위기 속에서 빛나는 기업도 있다. LG전자는 올 한해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할 전망이다. 올해 LG전자의 실적 컨세서스(전망치)는 매출 62조7035억원으로 전년 대비 2.22% 늘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스타일러·트윈워시 등 혁신 가전을 앞세운 생활가전 사업의 안정적인 성장세 덕분이다. 미세먼지 등 기후적 변화에 LG전자가 선제적으로 대응하면서 시장 점유유을 끌어 올린 결과다.

 국내 양대 포털기업 네이버와 카카오도 올해 역대 최대 매출액을 갱신할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의 올해 매출액 컨센서스는 6조5894억원으로 전년 동기(5조5869억원)보다 17.9%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도 올해 매출액이 3조733억원으로 지난해 2조4170억원보다 27.1% 증가한 창사 이래 최대 매출액을 기록할 전망이다.

 양사 모두 IT 플랫폼과 콘텐츠 서비스가 매년 두자릿수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네이버는 웹툰과 V라이브 등을 포함한 콘텐츠 서비스 매출이 급증하고, 카카오는 주력 플랫폼인 메신저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한 ‘톡비즈니스(톡비즈)"가 성공을 거두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도 올해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는 올해 연 매출 6조2560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추정된다.

 5세대이동통신(5G)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5G 장비 시장 선점 전략이 통했다는 분석이다. 삼성전자는 5G 상용화에 앞서 관련 네트워크 장비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영업을 강화했다. 삼성전자는 4G 장비 시장에 뒤늦게 대응했지만 5G 시장에선 적극적으로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LG생활건강도 올해 사상 최대 실적 경신이 유력하다. 올해 1분기부터 3분기까지 매 분기 사상 최대 누적 실적을 경신했다. ‘후’와 ‘숨’ 등 럭셔리 브랜드들이 경쟁력을 갖추면서 화장품 사업 부문이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생활용품·음료 등 사업까지도 고르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신성장동력 확보에 주력해온 기업들이 새로운 기회를 맞이했다”면서 “꾸준한 기술 개발로 신제품 라인업을 강화하고 적극적으로 마케팅을 펼치면서 좋은 결과를 낸 것”이라고 말했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 동서식품 ‘맥심골목’, ‘광고주가 뽑은 올해의 마케터상’ 수상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 한국전력기술, 협력사와 함께하는 ‘2025 품질의 날’ 개최
  • 거리에서 무대로… ‘청춘마이크’ 10년 여정 기록
  • 영국과 미국 헤리티지의 만남… 바버, 리바이스와 협업 컬렉션 출시
  • 국민연금 책임투자 자산 중 97% ‘ESG 워싱’ 논란
  • 웅진식품, ‘2025 JTBC 서울마라톤’ 공식 음료로 참여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불황에서도… ‘사상 최대 실적’ 낸 기업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