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하자·임금체불 논란 빚었던 서희건설, 지주택 조사·특검 수사로 창사 이래 최대 위기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8.12 23:26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과거 부실시공과 임금체불 논란으로 물의를 빚었던 서희건설이 이재명 정부 들어 지역주택조합 전수조사에 특검수사까지 받으며 창사 이래 최대 위기에 직면했다. 


KakaoTalk_20250812_161240145.jpg
11일 김건희 여사의 의혹들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나토 목걸이 의혹''과 관련해 압수수색 중인 서울 서초구 양재동 서희건설 사옥 모습.사진=연합뉴스

 12일 김건희 여사의 의혹들을 수사하는 김건희 특검(특별검사 민중기)에 따르면 이봉관 서희건설 회장은 본인이 6200만원대 반클리프 앤 아펠 목걸이를 구매해 김건희 여사 측에 건넸다는 내용의 자수서를 특검에 제출했다. 


 앞서 특검은 지난 11일 서울 서초구에 있는 서희건설 본사 등에 검사·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을 진행한 바 있다. 압수수색은 서희건설 고위 관계자가 김 여사가 착용했던 고가의 반클리프앤아펠 목걸이와 유사한 모델을 구입한 정황을 포착한 데 따른 것으로 알려졌는데 수사가 이어지자 이 회장이 결국 사실을 인정한 것이다. 


특검은 서희건설 압수수색 영장에 뇌물 공여 혐의를 적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봉관 회장의 사위인 박성근 변호사는 윤 전 대통령이 당선된 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기획조정분과 소속 전문위원으로 위촉됐고 국무총리 비서실장으로 기용됐다. 특검은 서희건설 측이 김 여사에게 고가목걸이를 선물하면서 인사청탁을 했을 가능성을 의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서희건설은 김건희 목걸이 사건에 직접 연루되면서 큰 타격을 입었다. 엎친 데 덮친 격이다. 이미 서희건설은 핵심 사업 중 하나인 지역주택조합 사업에 대해 정부 합동 특별점검을 받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6월 20일부터 7월 4일까지 전국 618개 지주택 사업의 분쟁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체의 30%(187개) 이상에서 민원이나 분쟁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토대로 정부는 8월 말까지 모든 조합을 대상으로 실태 점검을 진행하고, 분쟁이 심각한 사업장은 특별점검에 나설 계획이다. 점검 대상은 △조합원 모집 광고의 적정성 △가입 계약서의 불공정 여부 △회계 처리의 투명성 △공사비 증액의 타당성 등 조합원 피해와 직결되는 핵심 사안이다. 위반 사항이 적발되면 시정 명령이나 과태료 부과를 넘어 고발까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6월 취임 후 광주에서 열린 타운홀 미팅 자리에서 관련 민원에 대해 서희건설을 콕 찝어 거론하면서 “특정 건설사가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구조를 확인했다. 실태조사를 지시했고 어떻게 구조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지 검토 중”이라고 강조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최근 서희건설이 2022년 2월부터 작년 7월까지 수급사업자에게 공사를 맡긴 후 목적물을 수령하고도 법정기일 내 하도급 대금 총 1억1260만원을 지급하지 않는 등 하도급법 위반행위를 확인하고 경고 조치한 바 있다. 


 서희건설은 경기 용인시 보평역 서희스타힐스 아파트 지주택 비리 사건에도 연루돼 있다. 검찰은 지난달 말 해당 아파트 지주택 전직 조합장과 서희건설 부사장 등 5명을 구속기소 해 재판에 넘겼다. 서희건설 부사장 A씨는 전직 조합장 B씨에게 13억7500만원의 뒷돈을 건네고 그 대가로 물가상승분의 1.7배에 달하는 385억원의 공사비 증액을 관철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과거에도 서희건설은 품질 논란과 임금체불 문제로 여러 차례 물의를 빚은 바 있다. 2014년 국정감사에서 김윤덕 더불어민주당(당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현 국토부 장관)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서희건설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발주해 준공된 아파트 가운데 하자발생 건수가 가장 많은(3825건) 시공업체로 선정됐다. 임금체불도 불명예 1위를 기록했다. 2015년 국정감사에서 김태원 새누리당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LH가 발주한 건설현장에서 서희건설이 임금체불이 가장 많았다.


 서희건설은 2016년에도 14억6200만원의 임금을 체불해 임금체불 1위 건설사로 지목됐다. 2018년에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시행한 수원호매실 공동주택사업과 관련해 하자관리를 제때 안 해 하자관리 미흡 업체로 선정된 바 있다. 이후에도 서희건설이 시공한 건물에선 크고 작은 하자 논란이 꾸준히 발생해 입방아에 올랐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매드포갈릭, 창립기념 ‘9월 감사 혜택’ 프로모션
  • 쿠팡풀필먼트, 현장관리자 600명 공채
  • 아웃백, ‘프리퀀시 E-스탬프 시즌 3’ 이벤트 진행
  • 볼보, 순수 전기 SUV EX30CC 국내 출시
  • 극장판 ‘귀멸의 칼날’ 흥행에 원작 만화 판매 6배 급증
  • ‘1위 박보검 vs 2위 조정석’...‘K-브랜드지수’ 배우 부문 TOP10 발표
  • 빙그레, 과채주스 ‘캐옴’ 신제품 2종 출시
  • 스텔라 아르투아, 권성준 셰프 한국 공식 앰버서더 발탁
  • ‘Better Beef Market’… 육우 즐기는 주말 축제
  • 어도비 포토샵, ‘한복’ 입력했더니… 일본풍 의상 등장 논란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하자·임금체불 논란 빚었던 서희건설, 지주택 조사·특검 수사로 창사 이래 최대 위기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