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아동학대 위험·의심 가구 31만 명 돌파… 2024년 12% 급증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9.23 12:55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장애인·노인 학대까지 사전 발굴하는 통합 체계 필요”

서미화_국회의원_사진_(1).jpg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보건복지위원회) 사진=서미화 의원실 제공

 

최근 3년간 아동학대 위험·의심 가구가 31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12%나 증가해 예방 중심 대응체계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보건복지위원회)이 23일 한국사회보장정보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아동학대 위험·의심 아동은 2022년 9만9,820명, 2023년 9만9,614명, 2024년 11만1,511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해 처음으로 11만 명을 넘어섰다.


이 가운데 가구 구성원에 장애인이 포함된 경우는 2022년 1만4,768명(14.8%), 2023년 1만5,753명(15.8%), 2024년 1만2,765명(11.4%)으로 조사됐다. 비율은 다소 줄었지만, 매년 1만 명 이상이 위험군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회보장정보원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아동학대 위험·의심 가구를 정기적으로 선별·취합하고 있으며, 지자체와 복지기관 지원 연계에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아동을 넘어 장애인·노인 학대까지 조기 발굴할 수 있는 보다 폭넓은 체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서 의원은 “데이터 기반의 위험·의심 가구 선별은 중요한 출발점”이라면서도 “아동에 국한하지 않고 장애인·노인 학대 위험 가구까지 사전 발굴할 수 있는 통합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학대 사건 발생 이후의 사후 개입만으로는 한계가 뚜렷하다”며 “보건복지부·사회보장정보원·장애인권익옹호기관 등이 연계하는 예방 중심의 전국 단위 대응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신박한 컨설팅] 실패도 성장의 발판, 함께 만들어가는 ‘포용적 문화’
  • KBS2 토일드라마 ‘은수 좋은 날’, 가누다와 함께
  • “인플루언서 힘으로 지역 관광·중소 여행사 활성화 나선다”
  • AB인베브, 넷플릭스와 글로벌 브랜드 파트너십 체결
  • 차박 단속 5년 새 40배 증가… 송기헌 의원 “법령 공백 메워야”
  • 신한신용정보, 신용정보 업계 최초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 획득
  • 항공기 운항 증가에 ‘기내 불법행위’도 급증
  • 사이버렉카 피해자 쯔양, 국정감사 참고인으로 출석
  • 폴스타, 뉴욕 기후주간서 화석연료 반대 캠페인 전개
  • 한화생명, ‘K-브랜드지수’ 보험 상장사 부문 1위… 삼성화재·삼성생명 뒤이어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아동학대 위험·의심 가구 31만 명 돌파… 2024년 12% 급증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