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경실련 "정부 공급 공공주택 85%는 가짜·짝퉁"

  • 류근석 기자
  • 입력 2021.02.25 13:29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문재인 정부의 공공주택 85%가 서민의 주거 불안을 해소할 수 없는 ‘가짜·짝퉁' 공공주택이라고 주장했다. 경실련은 현 정부에서 늘어난 공공주택 대부분이 전세 보증금만 지원해주는 전세임대거나 임대 기간이 비교적 짧은 10년 임대, 행복주택 등이라고 말했다.  


Screenshot 2021-02-25 at 13.28.46.jpg
경실련 장기공공주택 보유현황 실태분석 발표 기자회견(사진출처=경실련)

 

25일 경실련은 기자회견을 열고 국토교통부가 공개한 공공임대주택 재고 현황을 유형별·정권별로 분석한 자료를 공개했다. 경실련은 국토부 통계와 주택업무편람, 정보공개청구로 확보한 국토부 답변 등을 활용해 문정부의 공공임대주택정책에 대해 비판을 더했다. 


2016년 말부터 2019년 말 기준으로 문재인 정부 3년 간 늘어난 공공주택은 약 32만 8,000호로 이 중 보증금만 지원해주는 전세임대는 10만 호(30.5%)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10년 뒤 분양 전환되는 10년 임대는 6만 5,000호(19.8%), 임대 기간이 6~10년에 불과하고 임대료도 높은 행복주택은 6만 1,000호(1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실련은 매입 임대 방식의 공공주택 역시 ‘짝퉁’이라고 비난했다. 경실련은 매입 임대의 경우 시세의 30~90%, 임대 기간 6~20년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집값 폭등 시기에 주택을 매입하는 행위는 불필요한 예산 낭비라는 것이다. 이런 매입 임대 공공주택도 5만 4,000호(16.5%) 늘어났다.


반면 영구·50년·국민 임대, 장기전세 등 경실련이 ‘진짜 공공주택’이라고 주장하는 장기 공공주택은 4만 8,000호 가량으로 14.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공이 영구 보유하고 30년 임대가 가능한 국민 임대는 3만 3,000호(10.1%)에 불과했다. 영구 임대는 1만 호, 50년 임대는 4,000호 늘었다.


한편 정권별로 장기공공주택을 가장 많이 공급한 시기는 이명박 정부로 장기 공공주택이 30만 호로 가장 많았다. 사업 승인 기준으로 살펴보면 노무현 정부가 국민임대 47만 호로 가장 많았다.


이날 경실련은 "우리나라 공공주택 비율은 싱가포르 75%, 북유럽 국가 33%에 비해 매우 낮다"며 "현재의 공공주택 정책은 주거 사다리 역할을 전혀 감당할 수 없다"며 "매입임대주택 공급은 중단하고, 국공유지를 공공이 직접 개발하고 토지를 소유해 장기임대하는 방식으로 공공주택을 공급해야한다"고 주장했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세계 악기로 재해석한 한국의 소리, ‘소리원정대’ 다큐 10월 방송
  • 자살 유족 10명 중 4명, 지원 거부…사회적 시선이 걸림돌
  • 혁신금융서비스 신청·출시 2024년 급증…전년 대비 각각 7배·3배 증가
  • 최근 5년 슈퍼세균 CRE 감염 환자 2.3배 급증, 요양병원서는 6배
  • 조은희 의원, “제2의 케데헌? IP 주권부터”
  • 청주시장 이범석, ‘K-브랜드지수’ 충청 지자체장 1위
  • “작년보다 2배 빠른 완판” 롯데웰푸드 ‘고창 고구마 시리즈’ 흥행 돌풍
  • 기아, ‘The 2026 카니발 하이리무진’ 출시…“고급감·편의성 한층 강화”
  • [이호준의 문화zip]- 프랑스 신용강등이 던지는 경고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경실련 "정부 공급 공공주택 85%는 가짜·짝퉁"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