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2020년 서울에서 발생한 개인형 이동수단 가해 사고는 387건

  • 박상현 기자
  • 입력 2021.12.14 00:07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서울연구원이 발행한 ‘서울 개인형 이동수단 가해사고’를 주제로 서울인포그래픽스에 따르면 2020년 서울에서 발생한 개인형 이동수단 가해 사고는 387건, 사망·중상·경상·부상자수(사상자)는 421명으로 조사됐다.


e-scooter-4786239_960_720.jpg
사진=픽사베이 제공

개인형 이동수단(PM: Personal Mobility)은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 전동 휠, 전기 자전거, 초소형 전기차 등을 의미한다.


서울연구원은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 분석 시스템(TAAS)의 사고 분석 데이터 중 개인형 이동수단이 가해인 사고 데이터(서울인포그래픽스 데이터 출처)에서 데이터를 취합했다.


이번에 집계된 가해 사고 건수와 사상자수 통계는 모두 지난 2019년 대비 20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대비 2020년 개인형 이동수단 가해 사고 증가율은 서울(188.8%)이 서울을 제외한 전국(62.9%)보다 3배 이상 높았고, 사상자수 증가폭도 서울(200.7%), 서울 외 전국(68.3%)과 차이가 컸다.


rrr.jpg
인포그래픽=서울연구원

한편 4년간(2017~2020년) 서울에서 발생한 개인형 이동수단 가해 사고 유형은 차대차가 50.7%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그 다음은 차 대 사람이 42.5%였으며, 단독 사고는 6.8%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가해 사고 법규 위반 사항은 ‘안전운전 불이행(휴대전화 조작, 담배, 전방 주시 태만, 운전 미숙 등)’이 57.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다음으로는 ‘신호 위반’ 8.3%, ‘중앙선 침범’ 4.8% 순(기타 제외)으로 조사됐다.


rrrr.jpg
인포그래픽=서울연구원

4년간 서울에서 발생한 개인형 이동수단 가해 사고 600건을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강남구가 134건으로 가장 많았고, 서초구 51건, 송파구 42건으로 ‘강남 3구’가 개인형 이동수단 가해 사고 상위 3개 자치구로 집계됐다.


시간대별 개인형 이동수단 가해 사고 건수를 보면 주로 출·퇴근 시간(9시, 18시) 사고 발생이 많았으나, 코로나19 발생 이후인 2020년에는 심야시간(23시, 0시) 발생 건수가 2017~2019년과 비교했을 때 다른 시간대에 비해 급증한 것으로 분석됐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세계 악기로 재해석한 한국의 소리, ‘소리원정대’ 다큐 10월 방송
  • 자살 유족 10명 중 4명, 지원 거부…사회적 시선이 걸림돌
  • 혁신금융서비스 신청·출시 2024년 급증…전년 대비 각각 7배·3배 증가
  • 최근 5년 슈퍼세균 CRE 감염 환자 2.3배 급증, 요양병원서는 6배
  • 조은희 의원, “제2의 케데헌? IP 주권부터”
  • 청주시장 이범석, ‘K-브랜드지수’ 충청 지자체장 1위
  • “작년보다 2배 빠른 완판” 롯데웰푸드 ‘고창 고구마 시리즈’ 흥행 돌풍
  • 기아, ‘The 2026 카니발 하이리무진’ 출시…“고급감·편의성 한층 강화”
  • [이호준의 문화zip]- 프랑스 신용강등이 던지는 경고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2020년 서울에서 발생한 개인형 이동수단 가해 사고는 387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