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조은희 “살인범죄 5건 중 1건, 교제폭력 등 친밀범죄가 원인”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8.22 15:26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최근 3년간 발생한 살인범죄 5건 중 1건은 교제폭력·가정폭력·스토킹 등 친밀관계 범죄 이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은희의원_보도자료용_사진.jpg
조은희 의원(국회 여성가족위원회 간사·서울 서초갑) 사진=조은희 의원실 제공

 

국민의힘 조은희 의원(국회 여성가족위원회 간사·서울 서초갑)이 경찰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올해 7월까지 발생한 살인(미수) 사건 1920건 중 372건(19.4%)이 친밀관계 범죄에서 비롯됐다. 이는 매달 평균 12명이 가정폭력이나 교제폭력, 스토킹 피해 이후 살인(미수) 범죄의 희생자가 된다는 의미다.


세부적으로는 가정폭력에서 비롯된 사건이 136건(60.4%)으로 가장 많았고, 교제폭력 62건(27.6%), 스토킹 22건(9.8%), 성폭력 4건(1.8%), 성매매 1건(0.4%) 순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23년 147건 ▲2024년 155건 ▲2025년 7월까지 70건으로, 원인 행위 개선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피해자 성별을 보면, 2023~2024년 기준 여성 대상 사건이 222건(73.5%)으로 압도적이었고, 남성 대상은 80건(26.5%)이었다. 남녀 모두 가정폭력→교제폭력→스토킹 순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뚜렷했다.


실제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지난해 11월 구미에서 발생한 ‘스토킹 살인 사건’, 올해 5월 화성 동탄과 6월 인천 부평·대구 성서에서 발생한 가정폭력 살인 사건, 지난 7월 대전 교제폭력 살인 사건 등이 대표적이다. 친밀관계에서 비롯된 폭력과 스토킹이 강력범죄로 이어지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조 의원은 “경찰의 공식 통계만 보더라도 친밀관계 범죄의 심각성이 입증됐다”며 “입법 공백 상태에 놓여 있는 교제폭력 문제를 비롯해 법·제도 전반의 대응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길거리 승객 태워도 수수료 부과하는 카카오택시 '불공정'
  • “존재하지도 않는 롤케이크?”… 이진숙 위원장 해명, 사실과 달랐다
  • 한학자 통일교 총재, 전직 검찰총장까지 포함된 ‘초호화 변호인단’
  • “집 안이 몰래 찍힐 수도”…로봇청소기서 ‘몰카 위험’ 보안 취약점 발견
  • “권성동 의원 큰절, 통일교 교주 아닌 부모·어르신께 해야”
  • 해외직구 식품서 마약류 성분 무더기 적발…소비자 주의 당부
  • 올해 銀 정기예·적금 중도해지 74조…침체된 서민경제 단면
  • 영주 산모 사망…혈액·마취·전원체계 ‘삼중 공백’ 드러나
  • 오비맥주 카스, ‘2025 올해의 브랜드 대상’ 맥주·논알콜 부문 동시 수상
  • “1위 하면 식사권 쏜다”… 이디야커피, 권성준 셰프 협업 메뉴 출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조은희 “살인범죄 5건 중 1건, 교제폭력 등 친밀범죄가 원인”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