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계획보다 2배 이상 설치된 무인교통단속장비 '세수 메우기용'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9.01 12:08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최근 5년 새 무인교통단속장비가 당초 정부 계획보다 2배 이상 많이 설치된 것으로 드러났다. 교통과태료 수입도 두 배 가까이 급증하면서, 일각에서 제기된 “세수(稅收) 메우기용”이라는 의혹에 다시 불이 붙고 있다.


576.jpg
사진은 서울 양천구 일대에 설치된 양방향 단속카메라. [양천구 제공. 연합뉴스]

 

경찰청은 2019년 말 ‘민식이법’ 통과에 따라 어린이보호구역 내 무인단속카메라 설치를 의무화하고, 향후 5년간 8800대를 추가 설치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2만2489대가 더 설치됐다. 전국 어린이보호구역 수(약 1만6500곳)보다 많은 수치다.


이 과정에서 교통과태료 수입은 2019년 7198억원에서 올해(2024년) 1조3500억원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 폐교 앞에도 여전히 단속카메라


문제는 장비의 효율적 운용이다. 출산율 저하와 학령인구 감소로 폐교·폐원되는 학교가 늘고 있지만, 이들 지역의 보호구역 앞에 여전히 무인단속카메라가 남아 있는 사례가 적지 않다. 2020년 이후 폐교된 초등학교 142곳 가운데 장비가 설치됐던 47곳 중 28곳(60%)은 여전히 카메라가 철거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해 기준 어린이보호구역 4445곳은 아직 단속장비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다. 이는 추가 장비 상당수가 어린이보호구역 외 지역에 설치됐음을 방증한다.


◇ “단가 내려가자 추가 구매”…경찰 해명에도 의문


경찰청은 “입찰 과정에서 장비 단가가 낮아지면서 남은 예산으로 추가 구매했고, 자치경찰제 시행 이후 지자체 예산으로도 설치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전국 어린이보호구역 수보다 많은 장비가 설치된 상황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임미애 의원(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은 “우리나라의 무인단속장비 설치 대수는 유럽 주요국보다도 훨씬 많은 수준”이라며 “세수 부족 때문에 늘었다는 오해를 불식시키려면 현재 장비 대수의 적정성에 대해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했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권성동 의원 큰절, 통일교 교주 아닌 부모·어르신께 해야”
  • 해외직구 식품서 마약류 성분 무더기 적발…소비자 주의 당부
  • 올해 銀 정기예·적금 중도해지 74조…침체된 서민경제 단면
  • 영주 산모 사망…혈액·마취·전원체계 ‘삼중 공백’ 드러나
  • 오비맥주 카스, ‘2025 올해의 브랜드 대상’ 맥주·논알콜 부문 동시 수상
  • “1위 하면 식사권 쏜다”… 이디야커피, 권성준 셰프 협업 메뉴 출시
  • 최수진 “북한 방사선 폐수… 원안위에 조사 권한 줘야”
  • 강경숙 “매관매직 의혹 이배용 교육위원장, 즉각 사퇴하라”
  • DB그룹 경영권 향방 중대 고비…김남호 명예회장, 법률 자문 검토
  • 기아, 2025년 하반기 집중 채용 돌입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계획보다 2배 이상 설치된 무인교통단속장비 '세수 메우기용'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