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세금을 받아 세금을 내는 꼴’ 황당한 예술의전당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9.04 01:16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국가 대표 예술기관인 예술의전당이 정부에서 받은 국고보조금으로 재산세·종부세 등 세금을 내온 사실이 드러났다. 지원금이 본래의 목적과 달리 ‘세금을 받아 세금을 내는’ 구조로 쓰이고 있다는 지적이다.


543 (1).jpg
예술의전당 항공뷰 사진출처=예술의전당 누리집

 

조국혁신당 김재원 의원(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은 1일 열린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결산 심사에서 “예술의전당은 국민 문화 향유와 예술 진흥을 위해 설립됐지만, 국고보조금의 절반 이상을 세금 납부에 사용하고 있다”며 “이는 비상식적인 예산 집행 구조”라고 비판했다.


실제 예술의전당은 2023년 281억원의 국고보조금을 지원받아 이 중 146억원(51.4%)을 세금 납부에 썼고, 2024년에도 167억원 가운데 31억원(18.9%)을 같은 용도로 지출했다. 같은 기간 예술 및 공익사업에 투입된 예산은 10% 남짓에 불과했다.


김 의원은 “예술의전당은 이미 대관료·임대료·공연수익 등으로 연간 350억원 안팎의 자체 수입을 거두고 있다”며 “세금은 자체수입으로 충당하고 부족한 부분만 보조금으로 메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보조금의 60%는 시설 유지비, 20%는 인건비로 쓰이고 예술·공익사업에는 고작 10%만 배정되는 게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과세 문제는 제도 변화에도 원인이 있었다. 2018년 개정된 「지방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26조에 따라, 이전까지 과세 특례로 재산세가 면제되던 예술의전당이 개정 직후 과세대상으로 전환됐다. 김 의원은 “문체부가 제도 변화를 사전에 인지하지 못하고 대응도 하지 않아 ‘과세 폭탄’이 발생했다”며 “문화예술기관의 특수성을 고려한 별도 특례 규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공연장·전시장 등 대규모 부동산을 운영하는 예술기관에 일반 공공기관과 동일한 과세 잣대를 적용하면 막대한 세금 부담이 불가피하다”며 “행안부와 협의해 감면 대상을 명확히 하는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문화체육관광부 최휘영 장관은 “의원님의 문제의식에 공감한다”며 “확인 후 해결 방안을 적극 모색하겠다”고 답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도 “문체부와 협의해 문제 해결을 함께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위메이크뉴스 & www.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한전기술–남동발전, ESG 감사 역량 강화 손잡았다
  • 현대제철, 장애인·비장애인 함께 쓰는 ‘누구나 벤치’ 당진에 설치
  • 한성자동차, 인증 중고차 ‘이달의 핫딜’ 운영
  • 쿠팡, 신학기 맞아 디지털·가전 최대 70% 할인
  • 현대건설, 바닥충격음 차단 성능 1등급 추가 확보
  • 업비트, 7·8월 소비자 만족도 1위… 빗썸·코인원 뒤이어
  • 롯데웰푸드, ‘빠삐코’ 패키지 디자인 공모전 열어
  • 거품이 '차오른다'… 오비맥주 ‘한맥 엑스트라 크리미 생 캔’, 전국 편의점 상륙
  • “나만의 커피를 찾다”… 동서식품, 북촌에 ‘카누 캡슐 테일러’ 체험 매장 열어
  • 수협, 가뭄 피해 강릉 어업인에 생수 4만개 긴급 지원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세금을 받아 세금을 내는 꼴’ 황당한 예술의전당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